깊은 시골 지역을 제외하고 요즘은 통신망 연결 상태나 속도 때문에 들어오는 통신 회사 고객센터 접수 건수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짐작합니다.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사실이 아니라 제 개인 생각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한때는 접속 상태가 '메롱'이라 인터넷 좀 보다 보면 먹통이 되거나 연결이 끊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았죠. 연결 상태가 안정화되고 나서는 접속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하루에도 몇 차례 씩이나 망 속도를 체크해 주는 사이트를 들락날락거리며 '왜 우리집 인터넷 속도는 이거 밖에 나오지 않는 거지?' 하고 짜증내곤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게 우리집 인터넷 속도가 느리다고 불평할 수 있었던 것이 망 속도를 체크해 주는 사이트에 가보면 통신 회사별로 각 통신 상품의 평균적인 업/다운 속도를 알려주었기 때문입니다. 그 수치를 기준으로 해서 속도가 제대로 나오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근거로 삼았던 거지요.

근래 들어서는 아파트 지역은 단지 내 동 단위로 광단자가 단자함까지 직접 들어오고, 주택의 경우도 초창기보다 진보된 FTTH 방식으로 집까지 연결되기 때문에 속도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룬 게 사실입니다. 그래도 망 속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죠. 미래의 데이터 환경도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질 것이라고 하니 망 속도에 대한 욕구는 수그러들지 않을 겁니다.


How the World was connected


광대역망의 성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링크로 이동합니다.


10년 전, 그러니까 1999년 당시의 광대역망 가입자 수는 세계적으로 4백만 명에 불과하였지만,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오늘날은 초고속 통신망으로 인터넷에 연결되는 수만 4백만이라는 통계가 있군요.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1999년부터 2011년 미래의 계획 중인 망 연결도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우리나라는 1999년을 제외하고는 항상 앞서 나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상으로는 그렇다는 의미입니다. ^^

How the world was connected - BB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