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Specifications

써멀테이크사의 RamOrb (PN: CL-R0029) 메모리 쿨러는 메모리의 각 면에 밀착된 알루미늄 판으로부터 열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6mm 힛파이프를 사용한다. 팬은 힛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는 방열부분인 핀들의 중간에 위치해 있는 형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란색 LED 팬은 작지만 메모리를 식히는데 충분한 성능을 자랑하며, 팬 크기는 50 x 10T이며 4핀 커넥터 연결방식이다. 각각의 RamOrb 쿨러는 패스 쓰루(pass through)방식의 파워 커넥터 구조(* 그림 참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4핀 커넥터만 있으면 RamOrb 쿨러가 몇개가 됐든 연결할 수 있다.
팬은 12볼트 4500RPM으로 돌아갈 때 20dB의 소음수준이므로 케이스 밖으로 RamOrb 쿨러의 팬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지는 않으며, CPU나 GPU, 혹은 파워 서플라이의 팬 돌아가는 소리가 RamOrb 쿨러의 팬 소리보다 더 크게 들릴 것이다.

스팩상 표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RamOrb 쿨러는 DDR, DDR2, 그리고 DDR3 메모리 모듈에 장착이 가능하다.
가격은 아직 미정이며, 시장에는 몇 주 내로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



The Package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장은 써멀테이크의 예전 방식을 따랐고, 안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창이 있다. 초기 제품은 DDR과 DDR2를 지원한다고 적혀 있지만, 나중에 리비전 형식으로 DDR3도 지원할 것으로 추측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Thermaltake RamOrb

사용자 삽입 이미지

G.Skill 메모리에 장착한 모습


장착시 주의할 점은 파워 케이블의 길이를 잘 따져 보아야 할 것이다. 메모리 슬롯이 케이스의 측면에 있다면 CD/DVD ROM이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는 파워 케이블이 닿을 것이다. 어떤 마더보드는 메모리 슬롯이 이상한 위치에 있는데 이럴 경우는 메모리 쿨러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따로 파워 커넥터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뒷모습. 구리 힛파이프에 연결된 구리 핀들이 더 잘 보인다. 메모리 덮개는 알루미늄 재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힛파이프와 핀의 접합부분을 확대한 모습. 많은 회사들이 힛파이프에 핀을 배열할 때 접합부위의 안정성은 크게 염두에 두지 않고 단순히 파이프 위에 핀을 배열하는 수준에 그친다. 그러나, 써멀테이크는 열을 더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접합부위에 노력을 들인 것이 느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힛파이프가 돌아가기 때문에 팬과 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좀 더 자유로울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육각렌치(육모렌치)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덮개는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힛파이프에는 써멀 그리스가 잘 도포되어 있으며, 샘플에는 이미 도포가 되어 왔지만 정식제품에는 써멀 패드와 함께 따로 제공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ccessories and Documenta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쿨러 최대의 성능을 이끌어 내기 위해 램 모듈에 붙이는 써멀 패드는 사용하기 전 보호를 위해 써멀 패드에 얇게 붙어 있는 비닐을 반드시 벗겨내고 사용해야 한다. 함께 제공되는 그리스와 육각렌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 System

CPU:
Intel QX6700 (Supplied by Intel)
M/B:
Gigabyte X38-DQ6 (Supplied by Gigabyte)
RAM:
G.Skill PC2-8800 2x2GB PI (Supplied by Thermaltake)
VGA:
ASUS HD 3870 TOP (Supplied by ASUS)
CPU Cooler:
Thermaltake MaxORB (Supplied by Thermaltake)
OS:
Microsoft Windows Vista Ultimate

테스트 방법은 RamOrb 쿨러를 부착한 상태와 부착하지 않은 상태를 구분하여서 시행하였으며, RamOrb 쿨러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팬을 돌리지 않았을 때와 팬을 가동했을 때의 온도차이를 각각 따로 측정하였다.

메모리에 부하를 주기 위하여 32M 수퍼파이를 10번 실행한 후 그 결과값을 측정하였다.



Test Result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위 온도가 25.5℃일 경우 RamOrb 쿨러 팬을 작동시키면 메모리 모듈 온도 32.1℃를 유지하였다. 상기 차트에서 보듯이 모든 경우 누드상태의 메모리 온도보다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열판 없이 로드 상태에서의 메모리 온도는 40℃에 육박하였다.


* 결론 부분은 실험자의 주관이 다분히 들어가 있으므로 제외하였습니다.


- 출처: TweakTown


마우스패드도 필요없는 무선 마우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 전 Air Media Remote를 선보인 Movea사는 최근 새로운 에어 마우스를 공개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이 이 마우스는 마우스패드나 여타 마우스의 작동을 위한 접촉면이 필요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실 등에 설치된 HTPC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너무나 많고 다양한 리모트 기기들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것을 고르는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 마우스가 리모트 기능을 보유한 마우스로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겁니다.

Movea사의 최신 마우스는 테스크탑 환경이나 무선 환경에서 모션센스 기술(MotionSense technology)을 이용하며 접촉면 없이 동작합니다. 무게는 4온스(* 약 113g) 정도이며 가격은 대략 미화 100불 정도가 될 것이라고 하는군요. 출시는 11월 정도에 한다고 합니다.


- 출처: Unplggd, Engadget


☞ 동작으로 마우스가 작동한다길래 봤는데 미화 100불이면 똑같은 용도는 아니지만, Wii 리모콘과 비교해 봐도 비싼 감이 있군요. 모션센스 기술이 새로운 기술도 아니고, HTPC를 꾸미시는 분들에게 그냥 이런 마우스도 있다는 겁니다. ^^
참고로, 이곳에 가면 소개된 마우스 외에 다른 제품들도 있네요.


'컴퓨터 관련 > Hardwa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stern Digital's RE3 hard drive  (0) 2008.10.04
Thermaltake RamOrb Memory Cooler  (0) 2008.09.29
Antec Skeleton Case  (0) 2008.09.18
CoolerMaster의 새로운 CPU 쿨러, V8  (0) 2008.09.13
Desktop CPU 비교 가이드 Rev. 5.8  (0) 2008.09.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동안 자신의 개인정보가 인터넷상에 돌아다니고, 자신도 모르게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기 개인정보로 가입되어 있는 싸이트들... 불안하셨죠? 이런 고충 해결을 위해 이번에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서 24일부터 10월24일까지 1달 동안 '개인정보 클린 캠페인'을 실시한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조하시고, 캠페인은 여기(http://p-clean.kisa.or.kr/)에서 진행되니 가셔서 개인정보 단속들 하시기 바랍니다.

  • 왼쪽 아래 배너로 등록해 두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tec에서 색다른 PC 케이스를 출시하는군요.
개방형 케이스이며 0.8미리 강판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마더보드 탈, 부착시 슬라이딩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마더보드와 장착된 부품들을 시원하게 식혀 주며 멀티색상의 LED로 싸이키풍의 분위기를 제공하는 250미리 팬이 바로 위에서 바람을 불어 주는 형태입니다.

마더보드 트레이 아래는 파워 서플라이 장착 공간과 2개의 5.25인치 ODD 베이, 그리고 HDD 쿨링을 위한 92미리 팬이 전면에 장착된 2개의 3.5인치 HDD 베이가 제공됩니다. 총 7개의 확장 슬롯이 제공된다는군요.

Specification

Antec Skeleton
Drive bays External: 2 x 5.25”
Internal: 2 x 3.5”
Optional: 4 x 3.5” side panel mounted drive trays
Expansion slots 7 Expansion Slots including room for 11” video cards
Cooling 1 top 250mm TriCool 3-speed multi color customizable LED Fan
1 front 92mm HD cooling fan
Motherboard support Standard ATX
Front ports 2 x USB 2.0
1 x FireWire (IEEE1394)
1 x eSATA
Audio (AC97’ and HDA compatible) In and Out
Unit Dimensions 31.75cm (H) x 37.6cm (W) x 41.9cm (D)
Weight 15.5 lb / 7.02 kg
PSU Not include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HEXUS

☞ 우리나라에 출시가 될지, 가격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출시가 되면 오픈형 케이스를 선호하는 유저들에게 또 하나의 선택권이 주어지겠군요.

CoolerMaster V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동차 엔진을 연상케 하는 쿨러마스터의 신형 CPU 쿨러 CoolerMaster V8이 발매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쿨러마스터 V8은(RR-UV8-XBU1-GP)은 방열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단일 히트싱크가 아닌 4개의 알루미늄 히트싱크를 합해놓은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최고 180W의 고클럭 CPU에 대응한다. 인텔 코어 2 익스트림/쿼드/듀오 프로세서 및 AMD 페넘/애슬론 64 X2 등을 지원.

크기는 128×120×161.1mm(W×D×H)이며, 무게는 865g.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총 8개의 6mm 히트파이프가 사용 되었으며, 히트싱크 가운데에 120mm 팬이 자리잡고 있다.

PWM 컨트롤을 지원하는 120mm 팬은 7V/12V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7V에서는 800~1450rpm, 12V에서는 900~1800rpm으로 회전한다. 소음은 17~21dBA.

판매 가격은 약 10,480~11,550엔(약 108,000~119,000원).


- 원본 출처: ASCII Japan
- 참고: 파코즈 하드웨어

☞ 과연 이런 CPU 쿨러가 필요한지 여부는 전적으로 개인의 판단 혹은 취향에 달려 있습니다.
웬만한 보드+CPU 가격을 호가하는 가격도 가격이지만 덩치와 무게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사용하시려면 자신이 사용하는 보드와의 간섭여부를 잘 알아보시고 구입하셔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무튼 그 동안 케이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더니, 이번에 새로운 CPU 쿨러 하나를 출시하는군요. 이전에 출시한 쿨러는 社名과는 다르게 별 호응을 얻지 못했지만 V8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이 리비젼에서는 총 662개의 데스크탑용 CPU를 포함하며, 총 18가지 비교항목을 제공한다.

AMD

CPU Details & Featur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 Pow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 Performance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el

CPU Details & Featur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 Pow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 Performance

사용자 삽입 이미지


☞ Cyrix, VIA 생략

- 출처: TECHARP
이 리비전에서는 총 357가지의 그래픽 카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18가지의 비교 항목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가이드는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Graphics Card'로 검색해 보세요.



















ATI


GPU Details

사용자 삽입 이미지



GPU Featur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GPU Performance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GPU Details

사용자 삽입 이미지



GPU Featur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GPU Performance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TECHARP












13가지 VGA Cooler Review


서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들어서 NVIDIA와 ATI는 4년전 CPU 산업이 직면했던 문제와 똑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문제라는 것은 단일 코어에 너무 많은 트랜지스터가 집적되어 있는 문제, 심각한 전력소비, 그리고 높은 발열을 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텔의 울프데일 CPU가 4억 1천만개의 트랜지스터와 65W의 TDP라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 NVIDIA GTX200은 15억개의 트랜지스터와 170W의 TDP로 제작되었다. 이보다는 덜하지만, AMD RV770 역시 9억 5천6백만개의 트랜지스터와 160W TDP이다. 숫자만 놓고 봤을 때는 CPU와 비교했을 때 GPU의 압승이다.

하지만, GPU가 확실히 CPU 보다는 훨씬 뜨거운 구동온도를 가진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하이앤드 그래픽 카드들이 부실한 쿨러들을 달고 출시되는데, 이는 GPU 코어의 열을 식히는데는 역부족이다. 아래 표는 GPU가 얼마나 뜨거운지를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코어별 로드시와 아이들시의 GPU 온도.


레퍼런스 쿨러의 경우 HD4850과 HD4870의 온도가 아이들임에도 불구하고 79℃까지 올라갔다. 이런 이유로 몇몇 이용자들이 팬속도를 올려보기 위해서 BIOS를 개조하는 시도를 하기도 하지만 팬 작동소음이 더 커지는 부작용이 있다. 솔직히 레퍼런스 쿨러로는 하이앤드 카드의 열을 떨어뜨리기에는 힘들다. 그래서 일명 사제쿨러들이 시장에 나오게 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론


사제쿨러의 세가지 특징:

공냉 방식이 우세

냉각방식은 2003년 이후 효율면에서 봤을 때 수냉(water cooling)방식이 공냉(air cooling)방식을 대체할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몇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공냉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 이유로는 수냉방식의 비싼 가격, 덩치 큰 부품들, 일정 기간 사용 후의 누수와 변형의 위험과 같은 불리한 특성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힛파이프 기술이 공냉방식에 나왔을 때 사람들의 관심은 도로 공냉방식으로 몰려 가게 되었다.


힛파이프(Heatpipe) 기술

힛파이프 기술의 동작 원리는 열을 보다 빨리 힛싱크로 보내기 위해서 기체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 변환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VGA 쿨러들이 힛파이프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 이 기술은 오래 전부터 대부분의 PC 구성부품들에 사용되어져 왔다.


다중 플랫폼 호환성

하이앤드 VGA 쿨러들은 많은 그래픽 카드들과의 호환성을 위해 2~6개 정도의 고정홀 간격을 가진다. 아래 차트는 12가지 타입의 그래픽 카드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로썸 HC 92 Cu8800 모델이 제공하는 3가지의 고정홀 간격을 나탄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정 홀


ATI HD 4800 시리즈와 NVIDIA GeForce 9 시리즈는 대부분의 쿨러들이 잘 지원하는 53미리 간격을 가진다. 그러나, GTX200 시리즈는 62미리의 간격을 가지는데 구형 사제쿨러들은 이 간격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GTX200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홀 간격을 추가해야만 한다.

그 외 사제쿨러의 특징으로는

  • 듀얼 팬 구조 유행
  • GPU에 직접적으로 향하는 공기 흐름
  • 무게 감량


13가지 VGA 쿨러의 사양과 가격

13가지 쿨러의 가격은 중국내의 가격이다. (* 주: 우리나라의 가격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ZALMAN GV1000    469RMB ($68)
  • Thermalright HR-03 GT    440RMB ($64)
  • Thermalright T-Rad2    425RMB ($62)
  • Thermaltake DuOrb    418RMB ($61)
  • ZEROtherm HC92 Cu8800    380RMB ($55)
  • AC Accelero S1 Rev.2 + Turbo Module    348RMB ($51)
  • XIGMATEK BATTLE-AXE VD964    320RMB ($47)
  • Coolink GFXChilla    320RMB ($47)
  • Thermalright V2    320RMB ($47)
  • AC Twin Turbo    299RMB ($44)
  • ZALMAN FC-ZV9    299RMB ($44)
  • ZEROtherm GX820    275RMB ($40)
  • PCCOOLER HP3-851    160RMB ($29)

  

사용자 삽입 이미지



ZEROtherm HC92 Cu88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ZEROtherm GX8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Arctic Cooling Accelero S1 Rev.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take DuOrb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ZALMAN FC-ZV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ZALMAN GV10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right HR-03 G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right V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olink GFXChill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CCOOLER HP3-85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right T-Rad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XIGMATEK BATTLE-AXE VD96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AC Twin Turbo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가지 그래픽 카드 호환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고정홀 간격에 해당되는 그래픽 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각의 쿨러가 지원하는 고정홀




Platform 구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right T-Rad2,HR-03 GT 그리고 V2는 따로 제공되는 팬이 없기 때문에 V2에는 위 사진에서 보이는 80mm(80x80x25) 팬을, HR-03 GT에는 92mm(92x92x20)팬을, T-Rad2에는 92mm 팬 두개를 사용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스트에 사용되어진 HD48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써멀 그리스 Arctic Silver 5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픽 카드의 PCB 온도 측정을 위한 센서와 측정 지점




테스트에 사용된 소프트웨어와 테스트 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FurMark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부팅 완료 후 팬 스피드를 1500RPM으로 맞춘다.
  2. GPU/PCB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FurMark를 실행하여 풀로드 상태로 15분 가량 돌린다.
  3. GPU 온도는 FurMark에서 표시되는 값을 기록, PCB 온도는 열측정 장비를 이용한 값을 기록한다.
  4. FurMark 종료.


팬 스피드 1500RPM에서의 결과

GPU 온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PCB 온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팬 스피드 FULL RPM일 때의 결과

GPU 온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PCB 온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Ranki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리뷰에서는 다른 기준보다는 가격 대비 성능비에 중점을 뒀으며, 그에 따른 최종 순위는 아래와 같다.

  1. Thermalright T-Rad2
  2. AC Accelero S1
  3. XIGMATEK VD964
  4. AC Twin Turbo
  5. Coolink GFXChilla
  6. PCCOOLER HP3-851
  7. Thermalright HR-03 GT
  8. ZALMAN GV1000
  9. ZEROtherm GX820
  10. Thermalright V2
  11. ZEROTherm HC92 Cu8800
  12. Thermaltake DuOrb
  13. ZALMAN FC-ZV9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론


13가지의 VGA 쿨러들 중에서는 Thermalright T-Rad2이 제일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은 비록 비싸지만 가격 대비 성능을 놓고 봤을 때는 HR-03 GT보다 유리한 고지에 있는 제품이다.

AC Accelero S1 역시 탁월한 성능을 보여 주었는데, 가장 큰 열발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은 적절한 수준이다.

XIGMATEK VD964, AC Twin Turbo 그리고 Coolink GFXChilla도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제품들은 모두 듀얼 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6위 제품인 PCCOOLER HP3-851는 가장 저렴한 가격에 적당한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Thermalright HR-03 GT는 가장 비싼 가격에 어중간한 성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잘만의 GV1000은 두번째로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그에 맞는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다.



- 출처: Expreview


☞ 주: 상기 순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테스트 환경과 테스트 방법 등에 따라 순위는 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쿨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참고는 될 수 있을 겁니다.

☞ 연관된 참고 자료: VGA 9종 벤치마크 - 쿨앤조이




독도 사랑 스티커 배포


독도사랑 스티커를 무료로 배포하는 곳이 있길래 소개해 봅니다.
차량용 스티커와 일반용 스티커 해서 3가지를 주는 것 같은데, 저도 아직 못받아 봐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

항상 일본에서 독도 얘기 나오면 냄비처럼 끓다가 또 금새 잊어버리곤 하는 저 자신을 반성해 볼겸
곳곳에 독도관련 흔적을 남기고 있는 중입니다. 블로그에 독도배너달고, 관련 싸이트 한번씩 둘러 보고...

참, 신청은 이곳에서 하시면 되고요, 좌측 상단에 스티커 신청하는 곳에서 하시면 됩니다.
마음에 드는 것이 회원가입, 로그인 이딴 거 필요 없습니다. 그냥 주소와 연락처만 적어주면 준답니다. ^^

* 신청 페이지가 바로 뜨도록 링크 수정했습니다.

정말 블루레이 원본의 용량이 수십 GB에 이르니 DL  DVD 공미디어로도 백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루 빨리 블루레이 드라이브와 공미디어가 지금의 ODD를 대체할 수 있도록 가격이 떨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사실 블루레이 드라이브야 비싸더라도 한번 구입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으니 투자라 생각하고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구매의향이 있습니다만, 문제는 블루레이 공미디어 가격 또한 만만치 않다는 것이 제일 큰 문제죠. 소모품으로써의 가격 형성이 빨리 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입니다. ^^





버팔로 테크날러지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내장형 블루레이 드라이브, 모델명 BR-816FBS를 지난 2일 출시했다.

최대 8배속의 블루레이 쓰기를 제공하며, DVD 쓰기는 최대 16배속, CD 쓰기는 최대 48배속을 지원한다. 문제는 아직까지 파나소닉의 최대 6배속을 지원하는 블루레이 디스크 보다 더 빠른 공 블루레이 미디어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8배속 미디어도 조만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8배속을 지원하는 공미디어가 아직 없음에도 불구하고, 듀얼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는 상대적으로 빠르고 쉬운 백업용으로써 환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대 50GB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자랑한다.

Cyberlink 소프트웨어가 번들로 제공되는 버팔로 8배속 내장형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예상가격이 £199.99이다.


- 출처: HEX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refox(이하 FF)에서는 마우스 휠을 단순히 웹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몇 가지 간단한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파이어폭스에서 마우스 휠 활용법



1. 탭(Tab) 닫기
마우스 커서를 탭에 위치한 다음 그냥 스크롤 휠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탭을 닫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여러 개의 탭을 닫을 경우 편리하고 빠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새로운 탭에서 하이퍼링크 열기
페이지 내의 링크를 새로운 탭에서 여는 일은 아주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방법은 링크를 오른쪽 클릭해서 거기서 '새 탭에 링크 열기(Open Link in New Tab)'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이것보다 더 빠른 방법은 그냥 마우스 휠을 링크에 대고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또한 툴바의 홈페이지로 이동 버튼에 대고 휠을 클릭하면 바로 새로운 탭에 홈페이지가 열립니다. 그리고, 앞으로/뒤로 버튼도 마찬가지로 동작합니다.

- 참고하세요
  • 새로운 탭에 하이퍼링크를 여는 방법에는 'Ctrl 키 + 링크 클릭' 방법도 있습니다.
  • 새로운 FF에 하이퍼링크를 여는 방법에는 'Shift 키 + 링크 클릭' 방법도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URL 붙여 넣고 이동하기
때때로 다른 웹 페이지 혹은 어떤 원본에서 링크를 복사해서 주소바에 붙여 놓고 엔터를 눌러 링크를 열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FF에서는 손쉬운 다른 방법을 제공합니다. 링크를 복사한 후 그냥 스크롤 휠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앞서 기술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기능은 FF에서 'disable'로 되어 있습니다만 고급환경설정에서 'enable'로 바꿔 주면 됩니다.
FF에서 고급환경설정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주소바에 'about:config'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middlemouse.contentLoadURL'라는 설정 이름(Preference Name)을 찾습니다. 필터바에 아래 그림과 같이 적어 넣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필터바에 'contentlo...'식으로 적어 나가면 매칭되는 설정 이름이 나타납니다.


'middlemouse.contentLoadURL'라는 설정 이름을 더블 클릭해서 값을 아래처럼 'true'로 바꾸어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지 설정 이름을 더블 클릭해 주는 것으로 값이 변경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alse에서 true 값으로



이제는 'general.autoScroll'이라는 설정 이름을 찾습니다. 필터바에 아래 그림과 같이 적어 넣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utoscroll'이라고 적으면 매칭되는 설정 이름이 나타납니다.


자, 이제 설정 이름을 더블 클릭해서 값을 'false'로 바꾸어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rue에서 false


이렇게 설정해 주면 끝입니다. URL을 복사한 후에 자동으로 이동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① 컨테츠 영역에서 단지 마우스 휠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현재 탭에 클립보드에 복사됐던 URL이 열립니다.
②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휠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탭에 클립보드에 복사됐던 URL이 열립니다.
③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휠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FF 창에서 클립보드에 복사됐던 URL이 열립니다.


4. 탭들 사이를 스크롤 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탭바 끝에 화살표가 나타날 정도로 아주 많은 탭들이 열려 있을 경우 탭바를 통해 가려진 탭들 사이를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간단하게 탭바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한 후에 마우스 휠을 스크롤 해주면 됩니다. 간단하죠? ^^


5. 앞으로/뒤로 가기
툴바의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버튼을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휠을 돌려 보세요. 다음 페이지 혹은 이전 페이지로 이동되시나요?


6. 확대하기/축소하기
페이지를 확대해서 보려면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자기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마우스 휠을 돌려 보세요. 반대로 페이지를 축소하려면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자기쪽으로 휠을 돌려 보세요~


- 출처: DigitalQuest


보통 홈페이지에 삽입된 YouTube 화면을 보고 플레이 버튼만 누르시지만, YouTube 화면의 여백을 클릭해서(▶버튼이 아닌 여백에다 클릭) 새창이 뜨면 주소창의 주소 끝에다 &fmt=18 를 붙이고 엔터키를 치면 원래 업로딩한 오리지날 영상의 화질로 시청이 가능합니다.


YouTube 고화질 옵션


☞ 추가: 720P로 인코딩된 영상이 있을 경우는 &fmt=22 를 붙이면 720p의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뒤에 붙는 18은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고 18외에 6,7,8,9 등으로 변경해 가면서 자신의 시스템환경과 인터넷환경에 맞는 옵션을 찾아보시면 좀 더 높은 화질로 클립들을 감상하실 수 있으실 수 있다고는 하는데 무조건 &fmt=18 로하니 원 화질의 시청이 가능하네요.

최근엔 watch this video in high quality라고 자체 메뉴도 있고, http://www.youtube.com/video_quality_settings 을 통하여도 가능합니다.

☞ 추가: 요즘 저작권 문제 때문에 난리군요. 링크 걸었던 동영상은 삭제합니다. 걸려 있던 링크 URL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코드는 사이트나 블로그 등에 붙여넣을 때 사용하는 것이고, 이 글에서 설명드리는 것은 영상을 클릭하여 YouTube 사이트로 이동하였을 때 주소창의 주소 끝에다가 &fmt=18, &fmt=22 를 붙이는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 일반 화질
<embed src="http://www.youtube.com/v/-xR5JOp_jO0&hl=ko"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mode="transparent" height="344" width="425">

★ 고화질
<embed src="http://www.youtube.com/v/-xR5JOp_jO0&hl=ko&ap=%2526fmt%3D18"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mode="transparent" height="344" width="425">

★ 원래 크기인 480 X 360
<embed src="http://www.youtube.com/v/-xR5JOp_jO0&hl=ko&ap=%2526fmt%3D18"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mode="transparent" height="360" width="480">


- 출처: 파코즈 하드웨어

☞ 아래 사항들은 관련된 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 참조 URL: http://www.choboweb.com/241

    - 유튜브 자체에서 애초에 두가지 버전으로 업로드를 한 것 같습니다.
      우선 저화질 / 고화질이 있고, 두가지 용량은 2배 차이가 납니다. (하나가 9메가라면 다른 하나는 18메가)

     [저화질]
      320x256 (5:4)
      25fps @ ~330Kbps
      Sorenson H263 (FLV1)
      //
      22050hz, mono
      VBR @ ~60Kbps
      MP3

     [고화질]
      450x360 (5:4)
      25fps @ ~510Kbps
      AVC1
      //
      44100hz, stereo
      VBR @ ~128Kbps
      AAC LC


☞ 추가: YouTube의 모든 영상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종 파일 다운로드 검색엔진 사이트 모음


☞ 각종 사이트 검색

www.noocle.kr




☞ 각종 사이트 및 토렌트 파일 검색 (검색어 입력 후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세요)

www.epicseek.co.cc



☞ FTP 각종 파일 검색

www.searchhacker.com/filesearch




☞ 사이트 아이디/패스워드 검색

www.searchhacker.com/passwords



☞ Rapidshare 사이트 파일 검색

www.filez.com

www.rapidshare-search-engine.com



☞ Rapidshare, Badongo, Mediafire, Sendspace and 4shared 사이트 파일 검색

www.filesnatcher.com



☞ Rapidshare, Badongo, Sendspace, MediaFire and 4Shared Files 사이트 파일 검색

www.takeabreak.uni.cc/more



☞ FTP 각종 파일 검색

www.takeabreak.uni.cc/file



☞ rapidshare, rapidshare.de, megaupload, megashares, filefactory 사이트 파일 검색

www.5iles.com



☞ Rapidshare, Megaupload, Megashares, Badongo, FileFront, Savefile 사이트 파일 검색

www.crazeuploads.com



☞ Word(.doc) Power Point(.ppt) Excel(.xls) PDF(.pdf) 파일 검색

www.brupt.com



☞ Audio, Ebooks, Pictures, Torrents, Video 파일 링크 검색

www.find.th4t.net



☞ MP3 파일 검색 다운로드 및 음악재생 사이트

www.skreemr.com

www.tagoo.ru

www.musicxposure.com

www.sadsteve.com

www.dorble.com

www.ssmunch.com

www.huntmymusic.com

www.hotmp3s.info

www.b3ta.cr3ation.co.uk



- 출처: 파코즈 하드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조만간 최상위 모델의 순위변동이 ATi 쪽에서 또 있을 겁니다. ^^
Specifications of the Main Cards

GPU




HD 4850


HD 4870

GTX 260

GTX 280










GPU frequency




625 MHz


750 MHz

576 MHz

602 MHz










ALU frequency




625 MHz


750 MHz

1242 MHz

1296 MHz










Memory frequency




1000 MHz


900 MHz

999 MHz

1107 MHz










Memory bus width




256 bits


256 bits

448 bits

512 bits










Memory type




GDDR3


GDDR5

GDDR3

GDDR3










Memory quantity




512 MB


512 MB

896 MB

1024 MB










Number of ALUs




800


800

192

240










Number of texture units




40


40

64

80










Number of ROPs




16


16

28

32










Shading power




1 TFlops


1.2 TFlops

715 GFlops

933 GFlops










Memory bandwidth




64 GB/s


115.2 GB/s

111.9 GB/s

141.7 GB/s










Number of transistors




956 million


956 million

1400 million

1400 million










Engraving process




0.055μ


0.055μ

0.065μ

0.065μ










Die surface area




260 mm²


260 mm²

576 mm²

576 mm²










Generation




2008


2008

2008

2008










Shader Model supported




4.1


4.1

4.0

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스트에 사용된 사파이어사의 라데온 HD4870





테스트 환경:

  • Asus P5E3 Deluxe (Intel X38)
  • Intel Core 2 Quad QX6850 (3 GHz)
  • Crucial 2 x 1 GB DDR3 1333 MHz 7-7-7-20
  • Western Digital WD5000AAKS
  • Asus 12x DVD drive
  • Cooler Master Real Power Pro 850W
    • Windows XP, Vista, Vista SP1
    • ForceWare 177.39 beta (9800 GTX +)
    • ForceWare 177.34 beta (GTX 260 and 280)
    • ForceWare 175.16 WHQL (9800 GTX, 9800 GX2, 8800 Ultra)
    • Catalyst 8.7 beta (HD 4850, HD 4870)
    • Catalyst 8.6 WHQL (HD 3870)
    • Catalyst 8.5 WHQL (HD 3870 X2)


Flight Simulator X

사용자 삽입 이미지

Flight Simulator X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all of Duty 4

사용자 삽입 이미지

Call of Duty 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 Drive Unlimited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 Drive Unlimite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rysis

사용자 삽입 이미지

Crysis

옥션 그래픽카드 - 지포스, 유니텍, 라데온, 그래픽카드, 컴퓨터부품, 누구나100%쿠폰지급.
http://www.auction.co.kr

G마켓 그래픽카드 - 대한민국 옥션 시장의 새로운 대안. 싸고 믿을 수 있는 좋은 시장, G마켓
http://www.gmarket.co.k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World in Conflict

사용자 삽입 이미지

World in Conflic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upreme Command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Supreme Command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Unreal Tournament 3

사용자 삽입 이미지

Unreal Tournament 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ss Effect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ss Effec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Race Driver: GRID

사용자 삽입 이미지

Race Driver: GRI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력 소비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온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론

◈ AMD Radeon HD 4870

라데온 HD 4870은 라데온 HD 4850과 같은 품질로서 가격은 더 비싸고,
지포스 GTX 260과 직접적으로 경쟁할 의도로 나온 제품이다 - Nvidia 그래픽 카드(GTX 260)에
비해서
소음은 적고, 좋은 품질에 가격은 더 싸며, 더 빠르다.
높은 전력 소비량에도 불구하고 가격적인 면을 볼 때 더 나은 선택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장점】
↑ GeForce GTX 260보다 6% 더 나은 성능.
↑ GeForce GTX 260보다 더 싼 가격.
↑ GeForce GTX 260보다 적은 소음.



【단점】
↓ 로드 상태일 때의 높은, 특히 아이들 상태에서의 높은 전력 소비량.
↓ 가격대 성능비가 Radeon HD 4850만큼 좋지는 않음.





+ Award Recommended Bu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http://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4870,1964.html



사용자 삽입 이미지


CHW.NET에서 2008년~2009년 사이의 AMD 데스크탑용의 새로운 칩셋 로드맵이 담긴 그림 한장을 보내왔다. 챠트에서 보면 다음 3사분기에는 더욱 새로워진 사우스 브리지 SB750과 짝을 이룬 790FX, 790GX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더 이상의 Sideport 관련 문제만 없다면 8월 중으로 AMD 790GX가 발표되는 것을 기대해 본다.

2009년에는 3개의 새로운 제품들(2개의
enthusiast와 1개의 Mainstream)이 나올 것이다.

첫번째로 2009년 1사분기에는 RD790 + SB750의 조합이 나올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것은 DDR3의 지원기능이 포함된 790FX의 확장형이 될 것이다.

2009년 2사분기에는 칩셋 RD890과 RS880이 출시될 것이다. 일반적인 AMD/ATi의 작명 관례로 볼 때, DDR3의 지원과 SB800과의 조합을 위한 790FX 또는 790GX 칩셋의 개별 업그레이드 버전 정도로 예상된다.

대중적인 780G(RS780)를 대체하게 될 또 다른 모델인 RS880 + SB800 조합은 DDR3와 sideport 메모리를 지원하게 될 것이다.



- 출처: http://my.ocworkbench.com/bbs/showthread.php?p=433292#post433292
수직 동기화 대기(V-Sync)에 대하여 설명이 명쾌하고 정리가 깔끔하게 잘 되어 있어 퍼 왔습니다. 평소 게임을 즐기면서 옵션 선택에서 가끔 혹은 자주 접하는 설정 항목인데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알고 싶었는데 마침 좋은 설명글이 올라 왔더군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직 동기화 대기 (Vertical Sync or V-Sync)


우리는 여태까지 수없이 많이 3D 옵션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지만 정작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3D 옵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첫번째로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수직 동기화 대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3D 게임을 하다보면 수직 동기화 대기라는 옵션을 자주 보게 됩니다. 영어로는 Vertical Sync 또는 V-Sync라고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요. [대기]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뭔가 느려지고 안좋아질꺼 같이 들리시나요? 하지만 이 옵션은 게임 화면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제부터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수직 동기화 대기를 알려면 모니터에 대하여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니터는 재생빈도가 있어서 초당 화면을 그리는 속도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는 CRT의 경우 전자총이 화면 좌측상단에서부터 우측하단에까지 전자총이 한줄한줄 그리면서 화면을 그리게 됩니다. LCD의 경우에는 이미지 프로세서에 의하여 거의 동시에 화면이 전환되게 되지만, 액정이 전기 신호에 반응하는(움직이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역시 재생빈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LCD 모니터는 대부분 최대 75Hz로 제한되어 있죠.

아래 이미지에 보면 제가 쓰는 모니터의 재생빈도는 85Hz로 맞춰져 있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초당 85번 완성된 화면을 그래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해상도를 낮추면 전자총이 그려야 하는 픽셀수가 적어져서 재생빈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제가 쓰는 LG CRT 모니터에서는 800x600 해상도에 최대 160Hz까지 지원을 하더군요.[각주:1]
 
모니터가 이렇게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 우리가 벤치마크에서 120 프레임이 나왔네 300 프레임이 나왔네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면 모니터가 초당 85장 밖에 그려내지 못하는데, 비디오 카드에서 300 프레임을 그려내면 뭐합니까, 실질적으로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은 85장(LCD는 75장) 밖에 안되는 것 입니다.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수직 동기화 대기란 모니터에 성능에 맞게 비디오 카드의 작동 속도를 맞추는 것이구나라고 대충 감이 오실거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 그것에 더 중요한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은 NVIDIA의 설정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예제를 3프레임만 캡쳐한 모습 입니다. 1프레임->2프레임->3프레임으로 움직이면서 NVIDIA 로고가 움직이는 모습으로 보이게 되지요. 만화의 원리처럼 약간씩 모양이 다른 그림을 연속해서 그려서 보여주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 입니다.

그러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모니터가 85Hz로 동작하여 초당 85장을 그리는데 비디오 카드가 초당 300장의 프레임을 만들어서 모니터에 보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모니터가 1프레임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디오 카드는 벌써 2프레임을 다 그려서 모니터에 전송을 해버렸습니다.[각주:2] 모니터는 1프레임을 반쯤 그린 상태인데 벌써 비디오 카드에서 2프레임이 도착 해버렸으므로 나머지 반은 2프레임으로 그려냅니다. 결국 화면에 보이게 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이 되어버리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간에 잘린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그 라인을 기준으로 윗쪽은 1프레임 정보가 그려진 것이고 아래쪽은 2프레임 정보가 그려진 것 입니다. 비디오 카드가 성능이 심하게 좋거나 모니터가 심하게 재생빈도가 낮아서 모니터가 1프레임 그리는 동안에 비디오 카드가 3프레임까지 그려냈다면 아래와 같이 잘린 부분이 두군데나 나타나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직 동기화 대기란 바로 이 현상을 막아주는 것 입니다. 우리는 모니터가 신호만 받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모니터는 화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한 화면이 다 그려지면 [내가 한 화면을 다 그렸으니 다음 페이지를 그릴 준비가 되었다]하고 비디오 카드에게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신호를 기다릴지 안 기다릴지 결정하는 것이 바로 [수직 동기화 대기] 옵션인 것이죠. 이 옵션을 ON 으로 설정하면 모니터에서 그릴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가 올 때만 프레임 정보를 보내주기 때문에 모니터의 재생빈도 이상 프레임을 그리지 못합니다. 결국 전체 프레임도 모니터의 능력 만큼 밖에 나오지 않겠지요.

대신에 화면이 잘리는 현상이 안나타나기 때문에 훨씬 깔끔한 3D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프레임 수는 숫자 놀음에 불과한 것이고 품질로 비교하면 수직 동기화 대기를 켜는 것이 훨씬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것 입니다.
물론 가장 좋은 것은 모니터도 높은 재생빈도를 가지고 비디오 카드도 이 재생빈도 만큼 프레임을 그려내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각주: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그림에서 보듯이 3D 옵션에 있는 수직 동기화 대기 옵션에서 [응용프로그램 제어]로 설정하면 응용프로그램이 내부 설정에 따라서 수직 동기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끄기]나 [켜키]를 통해서 강제로 수직 동기화 대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옵션에서 설정하는 정보는 OpenGL에서만 의미가 있고 Direct3D 기반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부적으로 수직 동기화 옵션을 다시 끌 수 있도록 해놓았기 때문에 100%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상으로 수직 동기화 대기에 대한 모든 내용을 마칩니다.


원본출처 : Parkoz

- 출처: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2&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306&cstart_page=0


  1. LCD 모니터는 해상도가 낮아져도 액정이 반응하는 속도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빈도는 그대로 입니다. [본문으로]
  2. 실제로는 모니터에 전송하는게 아니라 비디오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백버퍼라는 공간을 마련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니터가 이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참고로 해서 화면을 그리게 되는 것이죠. 백버퍼와 트리플(삼중)버퍼는 다른 강좌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본문으로]
  3. 수직 동기화 현상 때문에 LCD 보다 CRT가 게임에 더욱 유리하다는 말이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재생빈도가 훨씬 높으니까요. [본문으로]

이 글은 파코즈 하드웨어에 등록되었던 글입니다.

단순히 레이드로 묶어만 주는 것으로 알았는데 저렇게 나누어서 레이드하는 방법도 있군요.




안녕하십니까. 실력 없는 글쟁이 김인환입니다. 참으로 오랜만에 팁게시판에 글을 남기는 것 같군요. 제가 누구든 관심이 있으실 분은 없으실 테니, 그런 이야기는 이만 그만두도록 하고 본문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이번 팁은 알 사람은 다 아는 팁입니다. 제가 이걸 전수받은게 06년 말인가 07년 초인가 그러니까.. 아마 고수분들은 다들 아시지 싶습니다. 그러나 의외로 정식으로 여기에 소개가 되지 않고, 주변 사람들 중에서 아는 사람이 적기에. 의아한 마음에 작성합니다. raid, 레이드 등등으로 검색해도 비슷한 내용이 나오지 않는군요.


그럼 시작합니다.


하드 디스크. 이걸 사용하지 않는 분은 아마 없으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SSD나 램디스크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그건 극히 소수의 분에 해당되는 이야기 이므로 논외로 칩니다.


  캐쉬>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이 순서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하드웨어 지식을 지니신 분이라면 금방 알아보실 겁니다.


맞습니다. 전송속도의 차이입니다.


→ 이 방향으로 가면 갈 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즉, 하드디스크를 포함한 보조기억 장치는 컴퓨터 장치에서 가장 속도가 느립니다.


그로 인하여 적재, 실행, 저장의 과정에서 각 장치에 따라서 전송속도의 격차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병목현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속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참으로 많은 시도가 있었습니다.

플레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고, 기록밀도를 늘리고, 버퍼를 늘리고, 플레쉬메모리를 접목시키는 등… 그럼에도 역시 저 서열에는 넘어서기 힘든 벽이 존재하죠.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그만큼 주기억장치의 속도가 체감성능 및 퍼포먼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아, 갑자기 왜 삼천포로 빠졌는지 모르겠군요. 죄송합니다. 제가 번데기 앞에서 주름을 잡았군요. 언짢게 생각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조금은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아서 말이죠. 저는 고수가 아니지만, 이곳에 모두 컴퓨터 고수분들만 모인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 그래도 다 아신다고요? 하하하;;


근래에 들어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성능 향상법으로서, Raid(레이드)구성을 통한 전송속도 향상법이 있습니다.


레이드가 뭐냐? 그게 뭔지는 여기서 설명드리기 힘드니 알아서 검색해보시도록 하시고... 간단히 말하자면 복수의 하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 읽기 함으로서 성능을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물론 안정성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목적도 있지만, 여기서는 퍼포먼스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죠. raid0~10까지 설명하자면 책 한 권을 소개해도 모자랍니다. (물론 저는 그런거 쓸 능력 없습니다만)


Raid 0. Stripe를 이용하면 동일한 모델의 하드를 추가함으로서 거의 배에 가까운 향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안정성과 신뢰도에 일말의 불안을 안으면서도 많으신 분들이 레이드 구성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압니다.

무엇보다 내장 레이드 컨트롤러의 성능이 굉장히 좋아졌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겠지만요.



※ 본 게시물은 INTEL ICH8R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ICH9시리즈 같은 종류를 제외한 Nforce Raid나 Silimage, ATI칩셋 레이드 등등에는 정확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게 하드웨어가 없으니 어쩔 수 없습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여전히 쉽게 구입하기 힘든 가격대의 HW레이드 컨트롤러


DELL Perc 5/i같은 제품을 Ebay등에서 저렴하게 구입하시는 분들도 있으시지만, 솔직히 말해서 보통 사람들은 접근하기 힘듭니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호환성문제도 심각하니까요.


근래에 들어선 메인보드 내장칩셋을 이용한 레이드도 꽤 성능이 괜찮습니다. 물론 HW방식에 비하여 성능이 떨어지고 cpu점유율을 소모하는 것은 사실이죠. 어디서 감히 SW레이드를 HW레이드와 비교하는 만행을 저지르냐는 분들도 있으시고, 무용론을 제기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다만 정말 빨라지는 걸 어떻게 하겠습니까. 체감에서 스코어. 그 모든 것이 달라지는걸요. 아, 팁을 적으러 와서 갑자기 왜 이런 말을 하고 있는지 저 역시도 이해가 안갑니다. 다만 직업병이려니 하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친숙한 하드디스크의 내부 사진


4200, 5400, 7200, 10000, 15000RPM등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플레터. 그리고 플레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헤드(작대기) 두 가지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레터가 정확하게 반 회전 하는 것을 예로 들겠습니다.

플레터 내부의 는 동일 반 회전 하는 동안, 보시다시피 외경 에 비하여 더 짧은 영역을 탐색하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는 엄연히 물리적 장치이므로, 외경, 내경에 따라서 데이터의 처리속도가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헤드가 회전하는 플레터위를 왔다갔다 하면서 읽고, 지우고, 기록하는 물리 장치니까요.


이로서 하드디스크의 전송속도 그래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모든 하드디스크는 이렇게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시게이트 160G플레터 2장으로 되어있는 ST3320620AS의 단일 퍼포먼스 입니다. 위에서 말한 그대로입니다. 억세스도 그렇고 결과가 조금 나쁘게 나왔지만 양해해 주세요.


그러면 우리의 영웅. 내장레이드가 등장할 때가 되었군요


동일 모델 2개를 ICH8R로 Raid Stripe. 16KB로 640GB 단일볼륨 생성했을 때의 퍼포먼스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왕ㅋ굳ㅋ

 

성능 정말 좋군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사용하고 계신 것으로 압니다. 그러나... 이대로 끝을 낸다면 여타의 것과는 전혀 차이 없는 게시물이 되겠죠? 여기까지 실컷 떠들어 놓고 이걸로 끝내면 죄송할 뿐입니다.

우리는 뭔가 좀 더 좋은 것을 찾고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히딩구형님도 이대로는 불만이신 모양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플레터 외경에 있는 영역이 접근도 빠르고 전송도 빠르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곳에만 사용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배치하여 별도로 기록하면 퍼포먼스가 빨라지지 않을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쓰고 싶다 이겁니다.

 


데이터 전송율과 억세스 타임을 확인한다면 분명 초반 0~20%쯤은 외경의 고속구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다음 그림과 같지 않을까요? HD tune의 구간을 확인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HD tune와 비교해서 구간이 이렇게 되어있지 않겠습니까? 그림 못그려서 죄송합니다.


즉, 외경인 20%구간을 별도의 볼륨으로 잡아서 사용할 수 없는가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그럼 이제 다들 아실 테고... 그걸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말로 넘어가겠습니다.

 

방법은 단순합니다.

애당초 레이드 볼륨을 그렇게 나눠주시면 알아서 외경부터 잡힙니다.

 

무슨 뜻이냐고요? 아직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설명 들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원넣고 CMOS화면 지나서 Intel Matrix storage manager화면 뜨면 Ctrl I눌러서 메뉴에 들어갑니다. (위 화면은 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Creat RAID Volume하는 방법 따라서 기존과 달라집니다.



대부분 레이드 구성하시는 분들은 여기서 RAID볼륨 하나를 최대 용량으로 하나 잡아버리시고, 파티션은 windows에서 확장, 논리파티션으로 별도로 나눠주시더군요.

 

그러면 성능이 나오지 않습니다.


즉, 우리가 할 것은 원하는 용량만큼 여기서 용량을 나눠서 볼륨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320g하드 두 개, 총 640g에서 10%만 잡으시려면 64g하나, 나머지로 하나. 이렇게 두 개 만들어 주세요. 에? 겨우 그렇게 하는 것 만으로 외경의 원하는 구역만을 사용하여 볼륨을 잡을 수 있냐고요? 솔직히 저도 조금 의심됩니다만...

 

됩니다. 정말 그렇게 하는 것 만으로도 됩니다.

(다른 내장 칩셋은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제게 시스템이 없으니 말이죠.)

 

저는 500g 두 개와 320g하드 두 개. 총 두 쌍에 각각 5%, 10%를 나눠서 500G은 5000YS_OS로 50G(5%) 하나, 5000YS_DATA로 나머지 950G(95%) 하나로 나누었고, 320G는 320_OS로 64G(10%), 320_DATA로 나머지 90%를 나누었습니다.

 

Intel Matrix storage manager은 단일 멤버 하드에서 2개까지 볼륨을 형성 가능합니다. 물론 나뉘어진 볼륨은 이후 windows에서 파티션을 별도로 나누실 수 있습니다.

 

자, HD tune에서 확인하여 볼까요? 320G레이드의 데이터를 위에서 계속해서 개시하였으므로, 이번에도 320G레이드 셋으로 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왕 ㅋ굳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킹왕짱!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히딩구 형님도 만족하셨습니다.



HD TUNE에서 나온 비율대로 초기에 잡아주는 그대로 성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로 만족스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500G급 하드 2개를 16G급으로 OS용을 나눈다면 실로 대단한 퍼포먼스가 나오겠지만 다시 윈도우 깔고 저렇게 돌릴 용기도 시간도 없으므로... 그건 차후에 기약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가능하면 벤치마킹까지 해드리고 싶지만 시간도 늦고 노가다를 대신할 용기가 나지 않아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성한다고 힘들었습니다. 재미있게 써보려 했는데 쉽지 않군요.

 

 
- 출처: PARKOZ HARDWARE의 김인환님




내 컴퓨터가 필요로 하는 파워 용량 파악하러 가기

가운데 ToolseXtreme Power Supply Calculator로 들어가셔서 자신의 컴퓨터에 장착된 주변기기와 부품들을, 혹은 새로 조립하려고 예상 중인 부품과 주변기기들의 종류와 갯수를 정확히 선택해 주시고 Calculate 버튼을 누르시면 필요한 파워용량이 나옵니다.

해가 갈수록 ASUS라는 메이커는 참 괜찮은 메이커라는 느낌으로 다가 오는군요.
칩셋 P35을 사용한 보드들을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해 놓은게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 한눈에 들어 오니 보기 좋네요~ 그림 클릭해서 보시면 선명하게 나옵니다.

원문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http://www.nowpug.com/bbs/view.php?id=pug_review&no=107로 가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ASUS에서 제작한 칩셋P35를 사용한 보드들



- 출처: 나우퍼그
유기 EL 키보드인 Optimus Maximus입니다. 그냥 이런 키보드도 있다 이겁니다. ^^;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기능도 기능이지만 가격이 뭐...

아래 모든 사진은 클릭하시면 좀더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 그래픽카드의 유통구조 허와 실을 너무나도 신랄하게 지적한 좋은 글이 있어 예전에 옮겨 왔던 글입니다. 이사오면서 확인해 보니 원문글의 링크주소가 바뀌었더군요. 지금이라고 유통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은 한 여전히 이 글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안고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궁금했던 점이나 의아했던 점 대부분이 일시에 해소가 되었던 아주 유익한 글이었습니다. 글이 대단히 깁니다. 시간 나실 때 한번 찬찬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카드 유통의 허와 실


지난 5월 19일, 한국에서는 전 세계 게이머들의 이목이 집중된 행사가 하나 열렸다. 이름하여,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션'. 이 행사에서는 한국에서 독보적인 아성을 구축한 초인기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인 '스타크래프트'의 속편이 발표되어 한국은 물론, 전 세계 게이머들이 들썩이게 만들었다.

블리자드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스타크래프트 2는 윈도우 비스타에 내장된 API인 'Direct X 10'를 지원하도록 제작된데다 하복 물리엔진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되어 전작을 돌리던 사양으로는 어림없는 게임이다.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2'가 발표되자마자 인터넷에는 컴퓨터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대체로 이런 업그레이드 관련 논의는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쪽으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Direct X 10 API도 그렇고 하복 물리엔진도 그렇고 최신 그래픽카드 하나면 상당 부분 성능 문제를 해소해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블리자드는 엔비디아와 손잡고 게임을 제작하고 있어 최근 출시된 지포스 8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구입하면 장차 나올 스타크래프트 2를 마음껏 즐길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평범한 사람들이 갖고 노는 PC에서 높은 3D 가속 성능이 절실히 필요한 경우는 솔직히 얘기해서 게임 정도다. 일반인이 PC 성능을 이끌어 내는 경우는 대체로 게임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대박 게임 하나가 리테일 그래픽카드 시장의 판도를 가르는 분수령이 되곤 했다. 특히, 올해는 '스타크래프트 2'가 업그레이드 수요를 이끄는 중요한 촉매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불황의 수렁에 빠진 PC업계 입장에서는 이번 스타크래프트 2의 공식 발표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재작년과 작년에 있었던 '성인 게임장' 수요같이 한꺼번에 물량을 순환되게 만들어주는 사건이 없어 문 닫는 점포가 속출하고 있던 판국이었다. 그런데 단 하루만에 전국의 PC방과 개인 사용자들이 일제히 하드웨어에 지갑을 열 대사건이 일어났다. 모두가 열망하던 단 하나의 게임이 나온다는 소식에 당장 지포스 8 시리즈가 시장에서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업계에서는 블리자드의 신작 발표가 몰고올 특수를 대비해 지난 달부터 발빠르게 준비하고 있었다. 특히, 엔비디아가 중보급형 제품군을 발표함에 따라 관련 제품 출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한 달 사이에 수십종에 이르는 지포스 8600/8500 그래픽카드가 쏟아져나왔는데, 이를 하나하나 지켜본다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다. 때문에 최근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주요 제품군을 여럿 골라 제품이 가진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에 뜻이 있다면 끝까지 차근차근 읽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포스 8 시리즈 제품별 구성


엔비디아가 출시한 지포스 8 시리즈 제품군은 GPU에 부여된 모델넘버에 따라 크게 세 영역을 공략한다. 하이엔드 시장을 겨냥한 8800, 중급형 시장을 위한 8600, 보급형 시장에 공급되는 8500 시리즈가 각각 배치된 영역에서 모델을 세분화해 소비자에게 알맞은 제품을 공급되고 있다.

하이엔드 제품군인 8800은 내부적으로 네 가지 제품군으로 나뉜다. 90만원 선에서 판매되는 최상위 모델인 지포스 8800 울트라는 코어클럭 612MHz, 메모리 클럭 2160MHz, 쉐이더 클럭 1500MHz 등을 주요 사양으로 갖춘 현존 최강의 제품이다. 경쟁사인 AMD에서조차 대응모델 개발에 손을 놔 버렸을 정도로 현 시점에서 유일무이한 지존 자리에 올라있다. 그 밑으로 8800GTX, 8800GTS 640MB 버전, 8800GTS 320MB 버전 등 세 가지 제품이 가격대를 각각 달리 해 팔리는 중이다.

지난 달에 발매된 지포스 8600시리즈는 축구로 치면 미드필더 역할을 하는 제품이다. '가격대성능비'가 미덕인 중급형 시장에서 값 싸게 괜찮은 게이밍 성능을 얻고자 하는 소비자를 위해 태어났다. 엔비디아는 8600 시리즈를 성능에 따라 8600GTS와 8600GT 모델로 나눴는데, 8600GTS가 상위 모델이다. 8600GTS는 레퍼런스 디자인을 바탕으로 GPU가 견딜 수 있는 한계점 가까이 클럭 등을 튜닝해 제품이 나오는 편이며, 8600GT는 GPU에 여유를 두고 기판 디자인을 비교적 융통성있게 한 점이 특징이다.

지포스 8 시리즈의 막내는 8500 시리즈다. 8300, 8200 시리즈가 더 나올 예정이라고는 하지만, 이 둘은 OEM이나 초저가 PC를 위한 것인 탓에 게이밍 성능을 바라기 어려운 물건이다. 때문에 실질적으로 애드온 그래픽카드로써 보급형 시장은 8500 시리즈가 맡게 된다. 8500 시리즈는 현재 8500GT 모델만 나온 상태인데, 이 제품은 8600 시리즈의 절반인 16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내장한 점과 SLI 기술 미지원이 상위 모델과의 차별점이다. 대신 이 부분외에는 상당히 유연하게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다.

그래픽카드의 가치를 가늠하는데 가장 중시되는 요소로 성능을 우선 따져볼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나온 제품들 모두 엔비디아가 판매한 GPU를 갖고 클럭을 올리고 내리는 정도여서 이 것만 가지고 왈가왈부하기에는 너무나 변수가 많아 성능 하나만으로 그래픽카드의 가치를 재단한다는 것은 무리다. 반면, 많은 회사에서 제품을 쏟아내다보니 제품들이 천차만별이다. 럭셔리 외길을 걷는 제품도 있고, 단가를 줄일 작정으로 '다운 사이징'의 진수를 보여주는 제품도 있다. 이번 기사에는 바로 이 부분에 주목하려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엔비디아 지포스 8600GTS 레퍼런스 보드


엔비디아에서는 GPU만 파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제시한다. 또 '레퍼런스 제품'이라 해 직접 모범이 되는 그래픽카드를 엔지니어 사이에서 테스트해볼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엔비디아가 레퍼런스 디자인 제시를 넘어 직접 제품 공급을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하이엔드 제품군인 8800 시리즈와 8600GTS 고급 모델 대부분은 레퍼런스 카드에 장착된 기본 쿨러에 스티커만 따로 붙이거나 별도의 쿨러를 달아 유통사에서 판매하고 있다.

그래픽카드는 물리적으로 GPU, 메모리, 출력부, SLI 커넥터(8600), 전원부 등이 집적된 기판과 쿨러로 나눈다. 쿨러를 떼내면 기판 상에 주요 부품이 오밀조밀 집적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그래픽카드가 싸나 비싸나 동일된 구성을 갖는 부분으로 엔비디아가 패키지로 파는 GPU와 메모리가 있다. 또 기능적으로 반드시 있어야 할 출력부와 SLI 커넥터(8600)는 단가와 그다지 큰 상관없이 비슷한 구성을 갖춘다.

다른 부분과 다르게 전원부는 단가에 따라 부침이 극심한 곳이다. 때문에 전원부는 그래픽카드를 고를 때 잘 살펴봐야 한다. 예전에는 그래픽카드 단가를 줄이기 위해 기판 레이어를 줄이기도 했지만, 이 경우는 제품 불량률을 급상승시켜 요즘은 이런 형태로 단가를 줄이지는 않는 편이다. 또 한 때 유행(?)이었던 리마킹은 엄연한 범법행위, 사기여서 단순히 네티즌의 분노만 문제가 되는 게 아니라 업체 대표가 쇠고랑을 차야 할 일인지라 이 역시 요즘은 잘 안 보이는 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엔비디아 지포스 8600GT 레퍼런스 보드


엔비디아에서 제시하는 레퍼런스 디자인은 한 마디로 '고급'이다.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기호대로 만든 것 아니랄까봐 고가의 부품을 듬뿍써서 만드는게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게다가 튜닝 제품을 만들기 좋으라고 군데군데 여분의 캐패시터를 넣을 공간을 마련해주기도 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단가 인하에 혈안이 된 기업들은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를 경우에는 싼 부품을 쓰거나 아예 기판을 달리 해 들어가는 부품 수를 줄여 버리는 쪽으로 눈을 돌린다.

8600/8500 그래픽카드 전원부는 2페이즈 전원부를 기본으로 한다. 기판에서 전력을 크게 소모하는 곳은 GPU와 메모리이므로 각각 한 개의 페이즈를 배정하는 형태로 기판이 제작된다. 8600GT 레퍼런스 디자인의 경우, 하나의 페이즈로 GPU와 메모리 모두 감당하도록 레퍼런스 디자인이 고안되었는데, 이는 그래픽카드 자체의 소비 전력이 적다는 전제에서 한 것이다. 때문에 튜닝하거나 오버클럭이 가능하도록 만든 제품이 대다수인 8600GT 제품군에서는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른 제품을 유독 보기 어렵다.

그래픽카드에서 단일 페이즈를 구성하는 요소는 1개의 초크 코일, 1개의 드라이버 내장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1개 혹은 복수의 캐패시터(컨덴서), 1개 혹은 복수의 MOSFET이다. 캐패시터는 일반적으로 3개가 단일 페이즈를 구성할 때 쓰인다. 페이즈 구성 자체는 교과적인 것이라 따로 손 댈 부분이 적지만, 쓰이는 부품을 싸게 혹은 적게 쓰거나 캐패시터를 대용량으로 달고 페이즈 수 자체를 줄이는 꽁수가 존재한다. 때문에 하나의 페이즈에 대용량 캐패시터를 쓰거나 한 페이즈에 캐패시터를 2개 이하 배치하는 변종 모델이 존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엔비디아 지포스 8500GT 레퍼런스 보드


그래픽카드 전원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주요 부품에 대해 간략히나마 알아두는 것이 좋다. 제일 먼저 페이즈를 한 눈에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는 초크코일(Choke Coil)은 전원부에서 단일 부품으로는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넛 형태의 링을 구리선이 돌돌 말은 형태다. 싼 부품은 구리선이 모두 노출되며, 중간급은 절연체로 코일 주위를 굳힌다. 비싼 부품은 금속재질의 캡으로 노이즈 차폐와 발열 해소까지 시킨다. 주 용도는 전원부에 있는 고주파 노이즈를 걸러 깨끗한 주파수로 전력을 정비해준다.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 Transistor)는 단자가 금속으로 가공된 트랜지스터이다. MOSFET는 효율이 좋고 값이 정확해 노이즈를 타지 않아야 되는 전자회로에서 애용된다. 그래픽카드에서는 주로 스위치 역할을 하며, 기판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Low RDS' 타입의 작은 MOSFET이 기판에 장착된다. 레귤레이터(Regulator)는 필요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을 경우, 전압을 낮춰 공급하는 경우에 쓰인다. 그래픽카드에서는 크기문제를 극복하기 휘해 IC소자로 나올 때도 있다.

캐패시터(Capacitor)는 콘덴서(Condensor)와 혼용되어 쓰인다. 캐퍼시터는 콘덴서를 포함한 일반명사이며, 콘덴서의 역할을 하는 모든 소자를 캐퍼시터라고 부른다. 실상 콘덴서는 캐퍼시터의 한 종류인 셈이다. 캐패시터는 전하를 충전하고 방전 하는 소자로 전기를 보관하는 임시 창고 역할을 한다. 캐패시터는 높은 전압이 들어오면 '충전'을, 외부 전압이 낮으면 '방전'을 한다. 캐패시터의 용량은 F(패럿) 단위를 쓰는데, 캐패시터 표면에 보면 uF(마이크로패럿) 단위로 수치가 표기되어 있다.



주요 제품 차근차근 살펴보기


물고기를 잡아주기만 하는 것보다는 물고기를 잡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탈무드에서 나와있다. 제대로 지포스 8 시리즈를 고르기 위해서는 벤치마크 기사를 보고 성능이 어떠한지 참고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직접 눈으로 그래픽카드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혜안을 기르는 것이 더 쓸모가 많다.

그래픽카드를 차별화하는 요소로 포장상태, 번들 등이 언급되기도 하지만, 그런 것들은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PC시장에서는 높은 가격을 주면 그만큼 따라오는 것이 많긴 한데, 그 것보다 제품 자체를 보고 제품 자체의 가치를 판가름할 줄 아는 것이 진짜 실력이라 할 수 있겠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기판 자체에서 부품의 상태를 보고 어느 정도 레벨인지 가늠해 볼 줄 알게되면 적어도 무엇을 사고서 스스로의 선택을 후회하며 살지는 않을 것이다.

제품 판독을 위한 소재로 일곱 가지 브랜드 제품을 준비했다. 국내에서 내노라하는 다섯 업체에서 유통하는 대표적인 8600/8500 시리즈 그래픽카드들을 보고 이 제품들이 어떠한 가치를 가졌는가를 곰곰히 되짚어보기 바란다. 제품을, 그리고 시장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제품 외적인 부분 이야기를 말미에 꽤 하겠지만, 그에 앞서 여러 제품을 한 자리에서 비교해보고 앞으로 어떤 것을 사야될지 스스로 고민해보는 기회이길 바란다.


▒ 앱솔루트코리아 : XFX 'Play Har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앱솔루트코리아가 유통하는 XFX 브랜드 제품군은 홍콩에 본사를 둔 파인 테크놀러지가 생산한 고품질 그래픽카드로 구성된다. 그래픽카드 브랜드가 회사명을 대신하는 XFX는 파인 테크놀러지의 리테일 브랜드 통합작업에 따라 그래픽카드 외에도 사운드카드와 소모품 등 일반 사용자가 게임을 즐길 때 쓰는 주변기기를 포괄하는 브랜드로 해외에서 자리매김했다.

레퍼런스 규격에 맞춰 정규클럭 형태로 나오는 제품군과 별도로 튜닝된 제품을 '트리플 엑스(XXX) 에디션'이라는 하위 브랜드로 구분되어 판매된다. 위에서 볼 수 있는 그래픽카드는 8600GTS 트리플 엑스 에디션, 8600GT 트리플 엑스 에디션, 8500GT 등이다. 8600 계열은 클럭이 튜닝된 버전으로 게이밍에 특화된 제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XFX 제품군 중에서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른 제품은 8600GTS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두 제품이 값 싼 부품으로 단가 인하에 매진한 제품이라는 뜻은 아니다. 8600GT, 8500GT 모두 레퍼런스 사양은 상당히 상회한다. 우선, 오버클럭된 8600GT 제품의 경우, 전원부가 3 페이즈 구성이다. 기판에 배치된 캐패시터는 모두 고품질 캔타입 캐패시터를 채택했으며, 외부 전원 입력이 없어 전압이 낮아질 우려가 있는 출력부, SLI 커넥터쪽에 별도의 캐패시터를 추가로 배치해 안정성을 극대화시켰다.

XFX의 그래픽카드들은 레퍼런스 디자인을 채택한 8600GTS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제작된 점이 특징이다. 8600GT와 8500GT 모두 독자적인 규격으로 제작된 것이 눈에 띄는데, 다른 제조사와 같이 부품의 수준을 낮추거나 기판을 이루는 PCB를 줄이는 식의 '비 레퍼런스'가 아니라 정 반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제조사가 단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갔다면 반대로 단가가 마구마구 올라갈 정도로 고급 부품과 색다른 디자인이 적용되었는데, 특히 8600GT는 솔리드 캐패시터로 도배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앱솔루트코리아 : 리드텍 '윈패스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앱솔루트코리아가 유통하는 윈패스트 시리즈는 엔비디아의 퍼스트 파트너인 리드텍 리서치의 쿼드로 FX 시리즈와 비견되는 유서깊은 그래픽카드 브랜드다. 지포스 시리즈의 전신인 리바 시리즈 시절부터 단일 브랜드로 유지된 윈패스트는 폭스콘으로 메인보드 부분을 넘기고 그래픽카드 전문 브랜드로 새롭게 태어나 오늘에 이르고 있다.

리드텍 리서치는 엔비디아와 유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브랜드답게, 8600/8500 시리즈 발표 당일 해당 제품군을 모두 시장에 출시하기도 했다. 윈패스트 브랜드는 근 10여년 가까이 국내에는 유통되어 매니아들이 많이 찾는 제품이다. 국내에 같이 들어왔던 그래픽카드 브랜드 중에서 살아남아 있는 것이 전무할 정도로 리테일 그래픽카드 분야에서는 역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제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패스트 브랜드 그래픽카드는 8600GTS와 8500GT가 레퍼런스 디자인을 그대로 따랐다. GTS의 경우는 고급 부품을 쓴 덕분에 오버클럭이 용이했으며, 8500GT의 경우는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른 덕분에 엔비디아가 보증하는 확실한 안정성을 갖춘 제품이다. 중간에 위치한 8600GT가 비레퍼런스 제품인데, 이는 튜닝을 위해 페이즈를 하나 더 늘린 때문이다.

요즘은 엔튠(nTune)을 이용해 손쉽게 오버클럭을 하는 사용자들이 많은 편이어서 중급형 시장에서는 유연한 오버클럭 성능을 기본으로 갖추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앞서 잠깐 언급했듯, 8600GT 레퍼런스 디자인은 오버클럭을 하기에 불리한 편이다. 때문에 리드텍은 앞서 나와 검증되었던 7600GT 기판을 응용해서 제품을 만들어  보다 다루기 좋은 제품을 탄생시켰다.


▒ 이엠텍 : 제논 시리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엠텍은 엔비디아의 신제품 발표 이후, HV 시리즈 등 여러 브랜드로 동급 제품을 대거 선보여 국내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업체다. 이엠텍의 제품군중에서 제논(Xenon) 시리즈는 가격대성능비를 우선하는 실속파 소비자를 위해 고안된 브랜드로 독특한 이음절 제품명으로 출시때마다 화제를 몰고다녔던 제품이다.

제논 시리즈를 거쳐간 제품들은 이엠텍이 해외에서 유명 제조사와 직접 거래해 공급받은 양질의 제품들로 안정적인 품질과 오버클럭 여유 등으로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또 국내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잘만 쿨러를 탑재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따로 선보여 최근 쿨러 개조를 막아 생긴 트위커들의 불만을 해결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엠텍은 그래픽카드에 장착된 쿨러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내놓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 쿨러가 좋을수록 오버클럭 수준이 높아져 최상위급 쿨러인 잘만테크 VF900-Cu 쿨러를 쓴 경우, 최고 수준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튜닝되어 있다. 이엠텍은 VF900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모델의 쿨러를 그래픽카드와 짝지워 풍부한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잘만테크의 FHS 계열 쿨러를 쓴 그래픽카드들은 대체로 GPU뿐만 아니라 메모리까지 함께 식힐 수 있어 트위커들이 매우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이엠텍은 각 영역별로 가격대가 맞는 쿨러를 재빨리 선별해 투입하는 형태로 시장에서 입지를 점차 넓이고 있다.


▒ 유니텍 : 레전드 시리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에서 채널 유통이 강한 기업으로 손꼽이는 유니텍에서 그래픽카드 브랜드를 레전드(Legend)로 바꾸고 박스 디자인을 새롭게 변모시켜 지포스 8 시리즈 제품군을 출시했다. 유니텍이 국내에 선보인 그래픽카드는 앞서 본 이엠텍과 같은 팔릿 테크놀러지의 제품으로 각 급에 맞는 알맞은 성능이 장점이다.

최근 중국에서 나오는 번들쿨러들은 잘만테크의 디자인을 모방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GPU뿐만 아니라 메모리까지 일괄 냉각시키는 형태의 쿨러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유니텍에서는 별도의 단가 부담이 발생하는 튜닝 쿨러 모델보다 조금이라도 가격이 더 싼 번들쿨러쪽을 선택해 제품군을 전개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니텍에서 유통하고 있는 그래픽카드는 원제작사가 같은 관계로 앞서 본 이엠텍의 그래픽카드와 외견상 다른 점이 쿨러밖에 없다. 페이즈를 구성하고 있는 초크코일, 캐패시터 등이 위치는 물론 소재, 용량까지 같으므로 둘 다 같은 성능을 낸다고 봐도 무방하다. 단, 유니텍은 번들쿨러를 채택하고 있어 8600GTS는 기본적으로 레퍼런스 클럭을 준수하도록 바이오스를 설정했다.

쿨링 문제로 레퍼런스 규격을 준수한 8600GTS와 달리 8600GT는 1페이즈 늘어난 전원부를 바탕으로 오버클럭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메모리의 발열을 방열판을 이용해 바로 뺄 수 없어 팬에서 불어들인 바람이 곡선을 그리면서 메모리 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었다. 방열판을 따로 붙이는 것보다는 약하지만, 나름대로 대응책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렉스테크놀러지 : 최강 / 강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렉스테크놀러지는 최근 엔비디아와 가장 활발하게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는 기업이다. 과거 Iwill 메인보드 유통경력을 살려 엔비디아가 적극적으로 밀고 있는 엔포스 600 시리즈 메인보드 유통에 뛰어들었으며, 용산 등 전자상가 지역에서 엔비디아 제품 관련 로드쇼를 종종 열어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고 있다.

렉스텍이 국내에 출시한 그래픽카드는 앞서 본 팔릿의 제품이다. 8600GTS는 잘만 VF900-Cu 쿨러를 채택해 메모리까지 원할한 쿨링이 가능하도록 해, 코어 클럭 725MHz, 메모리 클럭 2200MHz 도달에 성공했다. 자매모델인 8600GT는 정규클럭인 코어/메모리 540/1400MHz를 뛰어넘는 600/1600MHz로 설정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렉스텍의 8600 시리즈 그래픽카드들은 8600GTS가 3페이즈, 8600GT가 2 페이즈 전원부를 갖췄다. 8600GTS가 2 페이즈를 GPU쪽으로 끌고 가 정해진 코어 클럭 이상으로 어느 정도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반면에 8600GT는 전원부가 여유있게 구성된 편은 아니어서 규정된 클럭 이상의 오버클럭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렉스텍도 그래픽카드 제품군을 상당히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 유명하다. 따라서 여기에서 본 팔릿의 기판을 이용해 만든 변형 모델이 다수 존재한다. 렉스텍은 쿨러를 임의개조한 제품에 대해서는 제품 보증을 하지 않기 위해 쿨러 나사 조임새에 개조 행위에 경고하는 스티커를 붙여놨다. 대신, B2B 시장을 통해 자재를 조달하므로 리테일에서 쿨러를 따로 사는 것보다 저렴하다.


▒ 아처테크놀러지 : 히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급형 시장과 영업 채널쪽에 주로 그래픽카드를 공급하고 있는 아처테크놀러지의 히트 시리즈는 앞서 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팔릿의 소닉 시리즈 제품군을 수입해 판매하는 제품이다. 제품의 개성을 살리기 위해 쿨러를 잘만테크의 것으로 교체했으며, 독자적인 박스디자인과 브랜드 네임을 채택해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잘만 VF900-Cu 쿨러를 채택한 점과 메모리에 방열판을 씌운 점 등, 시장에서 검증된 요소를 흡수해 시장에 나온 제품인 관계로 무난한 것이 특징이다. 오버클럭을 위해 전원부를 레퍼런스보다 약간 강화한 제품인 관계로 보증기간 동안 출고된 사양 그대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팔릿의 소닉 시리즈는 레퍼런스 클럭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GPU와 메모리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게끔 고안된 레퍼런스 디자인대신 기존 7600GT 디자인을 채용했다. 때문에 양 쪽 다 쿨링 문제 정도만 보충되면 오버클럭이 어느 정도 가능한 편이다. 저렴한 가격에 적정선의 오버클럭이 쉽다는 장점은 국내 업체에서 이 제품을 다수 채택하게 만든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유통사인 아처텍은 업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모델을 이용해 자사 라인업의 볼륨을 풍성하게 하고, 보급형에 머물렀던 라인업 전반을 상향시키는 용도로 '히트'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8600GT 시장은 시장의 중원에 해당하는 위치이기 때문에 이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면 하이엔드도 넘볼 수 있어 인화권 번들 등 마케팅에 고심하는 눈치다.


▒ 유니텍전자 : 센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니텍전자가 유통하는 센텀 브랜드 그래픽카드는 앞서 본 레전드 브랜드와 달리 꽤 개성있는 제품들이 많다. 특히 최근 출시된 센텀 8500GT 그래픽카드는 '변종'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교과서적으로 잘 보여주는 제품이다. 왜 '변종'이라고 했느냐면 제품 전반에 가미된 아이디어들이 익히 많이 봤던 것들이기 때문이다.

그래픽카드는 딱 보기에도 앞서 본 제품들과는 다른 분위기가 농후하다. 슬롯 가이드를 크롬 코팅한 것을 써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한데다 번들쿨러 역시 테두리를 짙은 파랑색의 아크릴로 감싸 꽤 중후한 느낌을 준다. 게다가 그래픽카드 기판이 흔한 녹색을 쓴 것이 아니라 에메랄드 컬러를 쓴 것을 써 외견상으로는 꽤 개성이 강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리서 보기에는 고급스러워보이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왜 '교과서적인 변종'이라는 표현을 썼는지가 확연히 보인다. 위 이미지는 상단에서 아래를 바로 찍은 것인데, 3페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가 기판을 절약하기 위해 짧게 커트친 것인데도 3 페이즈가 가능했던 것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기 때문이다.

8500GT 레퍼런스에서는 GPU 전원부는 3000uF, 메모리 전원부는 1500uF가 붙는다. 그런데 이 제품은 GPU에 2440uF, 메모리에 3000uF를 배치했다. 숫자만 놓고보면 오버클럭에 매력적이다. 다만, 쓰인 부품이 싼 편이라 안정성은 보장할 수 없다. 그래서 그런지 유니텍에서는 GPU와 메모리를 극한으로 몰아붙이지 않았다. 결국, 이 제품으로 오버클럭하다 사고나면 사용자 책임이다.



팔릿(Palit)으로 대동단결?


사용자 삽입 이미지

▲ GPU는 평등하다. 그러나...


앞서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여러 제품들을 둘러봤다. 어떤 제품이 귀티가 나고, 어떤 제품이 빈티가 나는지는 본 사람이 판단할 문제다. 여기에서는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 것들이니 추후에 제품을 구매할 때, 지금 본 것들을 곰곰히 되새기면 현명한 구매가 가능할 것이다. 그럼 단품이야기는 여기서 끝내고, 이제부터 앞서 본 제품과 관련해 시장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까 한다.

그래픽카드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은 어느 회사를 막론하고 같은 모델이라면 같다. GPU와 메모리가 함께 움직이므로 레퍼런스에 맞춰 제품을 디자인한다면 엔비디아가 정한 규격에서 바뀔 수가 없다. 그러다보니 박스가 어떻든, 번들이 어떻든, 전원부가 어떻든, 기판에 박힌 GPU가 무엇이냐에 따라 제품의 지위가 금새 결정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업체에서는 매출 혹은 순익에 무게를 두고 판매할 제품을 선별하는데 고민한다. 특히 국내와 같이 '엄청나게 낮은 가격'에 '엄청나게 높은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시장에서는 레퍼런스 디자인을 채택하지 않은 제품으로 업체 손이 잘 가는 편이다. 어차피 클레임걸면 1:1 교환은 되고 있으니 기업이라면 그러는 게 당연할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런 체제가 너무 오래 고착화되었다는 점이다. 위에서 대표적인 제품 몇 가지를 표본으로 삼아 봤겠지만, 시장에 앱솔루트코리아에서 유통하는 제품들 빼고는 거진 다 팔릿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제품들로 가득 찼다. 시장 점유율로는 이 유통사 저 유통사가 나눠먹기를 한다지만, 실상은 팔릿으로 국내 리테일 그래픽카드 시장이 꽤 잠식된 상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팔릿이 리테일 영업 안하는 회사는 아니다. 그런데...


해외 시장에서는 그래픽카드 시장이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지 오래다. 하나는 리테일, 다른 하나는 OEM. 리테일은 브랜드 정책에 따라 움직이는 시장으로 일관된 포장 디자인, 유행을 따르는 번들, 고품질 자재를 쓴 고품격 제품군 등이 특징이다. 반면에 OEM은 주문에 따라 얼마든지 가변적으로 사양이 뒤바뀌는데다 원제조사에서 유통사를 경유해 자사 제품을 구매한 사람을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 왜냐면 애시당초 수량개런티던 선반출이건 AS 버퍼까지 모두 넘긴 상태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으로 PC 주변기기 AS는 '물량'이 왕이다. 한국시장과 같이 조그만한 시장을 여러 업체에서 나눠먹기하고 앉아있으면 여기에서 발생하는 불량은 필연적으로 재고로 묶인다. 대기업과 같이 한 번에 100k(註: 1k=1000)단위로 물량을 죽죽 빼낸다면 예상불량률에 따른 물량을 납품할 때 AS 버퍼로 심고 본다지만, 규모가 작은 업체에서는 선입금하고 물건을 사다 재워놔야 한다. 아니면 날 잡고 비행기든 배든 뭐든 태워 공장 보내야 하는데, 그 비용은 또 누가 대겠는가?

그래픽카드의 경우, 국내에 생산기반이 아예 없다. 간혹 나오는 '국산 그래픽카드'는 쿨러가 국산이라는 소리지, 그래픽카드를 국내에서 임가공했다는 얘기는 아니다. 따라서 지금과 같이 한 업체로 모든 유통라인이 몰려있는 경우는 지극히 위험한 상황이다. 만약 팔릿에서 직접 진출하겠다는 생각을 하거나 특정 파트너를 멀티로 밀겠다고 나서면 어떻게 될까? '만약'이라는 가정하에서 하는 이야기겠지만, 팔릿이 한국지사 차려서 직접 진출할 경우에는  유통사들끼리 아옹다옹하는 이 시장을 싹 장악할 수도 있다.

국내에 해외에서도 굳건히 자리 잡고 있는 고급 브랜드 제품을 유통하고 있는 경우는 앱솔루트코리아 정도가 유일하다. 다른 곳 제품들은 앞서 봐서도 알겠지만, 동일 제조사의 동일 제품을 쿨러만 바꿔 달고 자사 브랜드 제품이라 파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팔릿이 자선사업으로 황토고원 일궈 그래픽카드 농사짓는게 아니라면 돈된다 싶으면 얼마든지 딴 생각 품을 수 있다. 이미 애즈락이 그랬고, 사파이어가 그랬고, 이폭스가 그랬다. 다 전례가 있어서 하는 얘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지포스 8600GTS 동급 제품 비교

사용자 삽입 이미지

XFX와 리드텍은 해외에서 팔릿이 범치못할 위상을 쌓은지 오래다. 때문에 브랜드 충성도나 역사를 논할 수 있는 메이커로 자리 잡아 독자적인 철학과 디자인을 제품에 녹여내고 있다. 반면에 팔릿은 OEM 전문이라 그런지 독자적인 브랜드를 내세우기보다는 유통사의 주문에 따라 그저 물건만 찍어낼 따름이다. 게다가 주문자와의 계약에 따라 단가를 맞추다보니 레퍼런스 디자인에 비해 수준이 떨어지는 부품이 주로 쓰인다. 레퍼런스 사진과 비교해 보면 코일이 드러난 것부터 시작에 눈에 띄는 부분이 많다.

위 사진과 도표는 앱솔루트코리아에서 유통하는 XFX와 리드텍 리서치 제품군을 제외한 다른 8600GTS 제품군을 비교한 것이다. 위 세 제품들에서 다른 점을 찾을 수 있다면, 쿨러와 바이오스와 가격, 그리고 유통사다. 쿨러와 바이오스는 유통사의 주문에 따라 바뀌는 것이고 가격은 시장이 결정하는 것인데, 결국 쿨러 싼 거 쓰면 싸고, 쿨러 비싼 거 쓰면 비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기사에서 쓰인 가격 기준은 가격비교사이트에 2007년 5월 21일 시점으로 카드현금동일가 조건으로 공시된 가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앞서 8600GTS에서 봤던 것과 동일한 현상이 8600GT에서도 벌어진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스가 같아 클럭이 동일하다보니 다른 것이냐고는 쿨러와 가격밖에 없다. 이 상황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한다는 개념이 성립할 수 있을까? 물론 유통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마음에 들어서 그 곳 제품을 산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런데 국내에 그렇게 양심적인 소비자가 몇이나 될 것 같은가?

소리소문없이 도산했던 퓨처리안을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국내 소비자 문화가 사실 OEM이나 어울릴법한 수준임을 알 것이다. 흔히 말하는 '진상'들이 오버클럭이 안된다는 이유로 매번 AS센터에 찾아가 드러눕다가 앞서 언급한 AS 버퍼 문제로 기업이 도산한 전형적인 경우다. 막판에는 AS 센터직원들이 자신들 봉급으로 AS 버퍼 재고를 부담하기까지 했으나 진상들의 행렬에 무너졌다.

퓨처리안 사태 이후, 많은 업체들이 AS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무척 애쓰고 있다지만 그게 그리 쉽게 지켜지지는 않고 있다. 국내 유통사들은 물건 떼다 파는 수준이지, 지분 관계를 바탕으로 공장에 지시를 내리는 체제는 아니기 때문에 재고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여기에 인터넷 커뮤니티를 빌미로 센터직원을 핍박하는 사례가 맞물려 우려되는 상황이 곧잘 연출되고 있다.

회사에서는 AS 줄이라고 난리, 센터에서는 수리가 아니라 1:1 교환을 안해준다고 난리. 녹아나는 건 센터 직원들뿐인데, 이런 경향이 단순히 AS 센터 직원 정신건강이 피폐해지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 기업 문화 자체가 직원들이 손실분을 숨기는 경향으로 흘러가 몇몇 업체가 이 문제로 꽤 골치 썩는 상황이고, 이런 것이 누적되게 방치하면 분명히 사고가 터진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완제품 PC에 장착되어 나오는 것이 아니라면 좀 더 돈을 쓰더라도 브랜드 파워가 강한 해외 유명 제품을 쓰는 것이 합당하다. 문제는 소위 '수율' 따져가며 고성능만을 찾는 행태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지다보니 계도와 홍보로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어 보인다. 결국 최후에 최후까지 가 수요공급의 지위가 바뀌는 충격이 있지 않고서는 쉽게 고치기 어려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이엠텍 팔릿 8600GT와 타사 팔릿 8600GT와 프로덕트 넘버 비교


너무 똑같은 제품이라서 유통사에서도 민망했는지 조크랄까, 꽤 재미있는 경우를 보여주기도 한다. 위 두 제품은 모두 같은 지포스 8600GT 그래픽카드다. 제조사도 팔릿으로 같다. 그런데 약간 다르다. 프로덕트 넘버가 말이다. 프로덕트 넘버가 다른 모델을 선택하면 PCB 색깔을 바꿔준다. 녹색 일변도가 지겹다거나 눈치 보이면 나름대로 선택할 수 있는 꽁수다.

붉은 색 제품의 프로덕트 넘버는 860TSXT321-PM8984, 녹색 제품의 프로덕트 넘버는 860TS+T321-PM8184. 외견 상 차이는 회로 구성이 약간 달라 페이즈에서 들어가는 회로가 좀 꺽이는 정도다. 특별히 성능 향상을 위한 고도의 개조라기 보다는 인테리어 정도의 차이로 보인다. 그나마 이 정도라도 신경쓴다는 것은 주어진 한계에서 마케터들이 상당히 고생했다는 증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8500GT는 10만원 미만 시장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Direct  X 10 API 지원 보급형 그래픽카드다. 여타 HDCP 키롬 장착 제품은 기판 색상이나 쓰인 부품 자체가 보급형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고급 제품이라 가격에 포커스를 맞춘 다른 제품과는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 상위 모델들이 HDCP 키롬을 집적한 것은 PC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우선시하는 소비자를 위한다는 의미다. 반면에 저렴한 8500GT 제품들은 화면에서 Direct X 10 API가 구현하는 그래픽 효과가 나온다는 의미를 둔 것으로 봐야할 것들이다.

8500GT는 보급형 제품인 것도 있지만, 그나마 있는 부품마저 없어 퀭한 모양새다. 비어있는 공간을 보면 LP(Low Profile) 타입이나 센텀과 같이 쇼트바디 형태로 만들 수도 있었을 것 같지만, 그렇게까지 절약하지는 않은 것 같다. 앞서 본 XFX의 8500GT 마냥 블랙기판에 고급 자재를 아낌없이 쓰는 것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팔릿에서 나온 제품들 모두 비닐 재질로 외부를 감싼 캐패시터와 아교로 굳힌 초크코일로 구성되어 있어 고급 모델과 딱 봐도 큰 차이가 있다. 그다지 공간 차지가 많은 편은 아니다보니 좀 더 줄일 수 있었다면 PCB 크기까지 줄였으면 좋았을 것 같다.

이엠텍과 유니텍의 동급 제품을 비교해보면 제품도 같고 조건도 같으니 가격까지 같아져 버린다. 결국 어느 업체를 선호하느냐에 따라 구매결정이 갈리는 셈인데, 그러기에는 좀 울적한 부분이 없지 않다. 한 때 그래픽카드 생산국이었던 우리나라가 이제는 해외에서 자기 브랜드도 제대로 못 살린 업체 물건갖고 이 회사 저 회사 서로 다른 이름과 쿨러만 붙이고 자사 제품이라 하는 상황이다. 싸게 좋은 제품 산다는 건 분명 좋은 일인데, 가급적 제조사가 달라 개성있는 제품 사이에서 선택했으면 좋겠다.



진흙탕을 넘어 늪지대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팔릿의 8600/8500 시리즈 제품군의 유입을 보면서 한 가지 우려하게 되는 부분은 드디어 그래픽카드 쿨러를 고정시키는 나사에 봉인 씰이 붙었다는 점이다. 별거 아닌 거 같아보여도 이 속에 내포된 의미는 꽤 심각하다. 본래 리테일에서 유통되는 그래픽카드는 쿨러와 같이 분리가능한 개체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얼마든지 개조할 수 있도록 접합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쓰다가 고장났을 시에는 살 때 기본쿨러로 달려있던 것만 껴서 보내주면 그만이었다. 그러나 저 봉인씰이 부착되어 있다면 이 제품은 리테일이라기 보다는 OEM 흘러나온 걸 쓰는 것과 진배없어진다.

이번에 살펴본 제품들을 보면 VF900-Cu 마냥 접합부가 핸드스크류로 되어 크게 돌출된 제품이 아니라면 저런 봉인씰이 붙여져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XFX, 리드텍 등 해외에서도 리테일 명품으로 인정받는 제품이나 센텀과 같이 개조 및 튜닝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변종 모델 외에는 저 봉인씰을 모두 볼 수 있었다. 봉인씰은 제한 보증 조건이 달렸다는 의미인데, 이는 저 씰이 훼손된 경우 팔릿에서 교환 책임이 법적으로 없어진다. 만약 소비자가 씰이 훼손된 걸 AS 센터에 들고가 어떻게든 바꾼다면 그것은 악성 재고로 변신할 가능성이 높다.

애시당초 저걸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계약이 되어 제품이 수입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미처 생각치 못하다 발견한 것인지라 놀라움만 남을 뿐이다. 지금까지 그래픽카드를 사면 쿨러 정도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것이라 생각했던 것을 바꿔야 할 것 같다. 팔릿 제품을 취급하는 유통사들이 저런 위험한 조건을 받아들임에 따라 앞으로 국내 그래픽카드 리테일 시장을 양극화가 필연적이다. 돈 더 쓰더라도 명품 브랜드를 써야 지금과 같이 쿨러를 마음대로 바꾸면서도 AS는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싸다고는 해도 자유가 제한된 것을 산다는 것은 인간적으로 참으로 슬픈 일이다.

한 가지 제안이라면 지금이라도 모든 유통사들이 제품에 유통 상품의 원 제조사를 표기해야 된다. 닌텐도만 봐도 자사 NDSL에 폭스콘에서 생산했다고 떡하니 밝히는데, 못 할 것이 어디있겠는가? 어차피 한 업체에서 갈라나온 사람들이 차린 회사에서 그래픽카드나 메인보드 유통 다 하다보니 소스가 겹치고 겹쳐 이 지경에 이르른 것이다. 차라리 이런 상황이라면 다 밝히는게 낫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변종 출현 임박 = 정상 시장 쇠퇴 신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니텍 센텀 제품을 다룬 이유는 이 제품이 여러모로 눈에 띄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멀리서 앞을 보면 고급스러워 보이건만, 직접 들고 보다보면 황당할 정도로 빈틈이 많아서다. 지금까지 많은 제품을 봐왔지만, 쿨러 고정하는 나사를 줄여서 단가 낮춘 건 처음봤다. 앞서 본 팔릿의 제품들이 단가를 낮추기 위해 레퍼런스 디자인에서 지정한 부품보다 낮은 등급의 부품을 쓰긴 했어도 적어도 보드 레이아웃은 지켜줬는데, 이 제품은 그게 아니다.

변종제품이라 SLI 커넥터를 스티커로 막아놓은 것은 이해해줄 수 있다. 애시당초 드라이버 문제도 있고, 없는 거 억지로 넣으면 초기에 호환성 문제도 생기는 법이니까. 하지만 제품 완성도나 나사 빼먹은 것, 절연체도 채우지 않고 초크코일 위에 커버만 씌운 것 등 제품 자체의 완성도는 심하게 막막한 수준이다.

문제는 이런 제품이 앞으로 대세가 된다는 점이다. 과거 9550, 550, 1550으로 이어오는 계보도 그렇지만, 엔비디아쪽도 창의적인(?) 기판 디자인으로 그게 준하는 제품들을 꽤 많이 내놓았던 전력이 있다. 소비자들은 고급 부품을 쓴 XFX, 리드텍 등 유명 브랜드보다는 '당장 싸게 높은 성능'을, '문제 생기면 1:1 교환' 이라는 개념에 무게를 둔다. 특히 한국 시장에는 이런 제품이 환영받아왔다. 아무래도 상황이 이렇다보니 결국은 또 이런 제품이 히트칠지도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봉인 씰이 나사에 붙은 OEM에 준하는 제품과 변종들이 리테일 제품으로 대놓고 팔리는 상황이다보니 해외 명품 브랜드를 국내에 꾸준히 소개하고 있는 앱솔루트코리아가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인 모양새다. 앱솔루트코리아에서 수입하는 XFX, 리드텍 제품들은 본사 차원에서 브랜드 관리를 하기 때문에 다른 곳같이 그래픽카드만 수입해서 국내에서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 박스채로 수입해 들여온다. 때문에 다른 유통사에 비해 물류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

비용 문제를 내세워 다른 곳같이 알맹이만 따로 수입할 수도 없다. 왜냐면 그런 식으로 장사하면 브랜드 파워가 급전직하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런 볼썽사나운 모습은 명품을 만든다는 자부심이 있는 본사 사람들이 용인할 리도 납득할 리도 없다. 그나마 국내에서 인식이 깨인 소비자들은 돈을 더 내더라도 자신의 권리를 지킨다는 측면에서 투자를 하고 있으니 명맥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OEM에서나 팔릴 법한 물건들이 큰 목소리를 내는 요즘과 같은 현실은 그리 긍정적인 상황이 아님은 확실하다.



돈 쓰는 만큼 권리가, 아는 만큼 의무가


그래픽카드도 엄연히 상품이다. 굳이 PC에 장착해서 숫자 뽑아내서 좋고 나쁨을 따지기 이전에 보이는 그 자체만으로도 제품이 어떤 물건인지 훤히 드러나보인다. 해외 소비자들은 이런 점을 유념하고 리테일 제품을 제 값 주고 정해진 스펙과 성능대로 서비스 받는다는  것이라고 일찍 깨쳤다. 이 덕분에 리테일 시장이 건전하게 육성되어 이제는 미출시된 최신 게임을 번들로 즐기기도 하고, 이벤트로 리베이트를 받기도 하는 등 소비자로서의 권익을 만끽하고 있다.

반면에 국내는 리테일 시장의 건전성이 날로 쇠락하더니 이제는 OEM 영역에 편입되지 않을까 우려되는 중차대한 기로까지 왔다. 사실 유통사들도 기업 입장에서 소비자들이 원하는대로, 싸게 싸게 교환이나 빨리해줄 수 있는 것을 따라가다 이리 된 것이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대세'에 편승하다보니 여기까지 온거라 이제와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이제와 복기해보자면 결국 '쌍방과실'이랄까.

국내 유통사 중에서 본사 브랜드 정책 고수하며 박스까지 수입해 파는 회사가 그래픽카드 유통사중에 몇이나 남아 있는가? 그나마 국내에 앱솔루트코리아와 같이 명품 브랜드를 고수하고 있는 유통사가 있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이라 할 수 있다. XFX, 리드텍 등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유명 브랜드 제품들을 시장에서 돈 주고 살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신비하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요즘같이 시장 생태계가 극한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버팀목이 되는 회사가 단 하나밖에 없다는 사실이 안심되면서도 씁쓸하게 느껴진다.

이제라도 아주 간단한 이치대로 소비하는 습관이 퍼져나갔으면 좋겠다. 어려운 거 아니다. 돈 쓰는 만큼 권리를 행사하고 아는 만큼 의무를 다하는 시장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좋겠다. 자신이 돈 주고 산 제품이 애시당초 불량 없이 오래오래 쓸 수 있는 것이면 좋겠다. 만약 문제가 생긴다 하더라도 보편적인 상식대로 원인을 규명해 깔끔하게 해결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다보면 언젠가는 모두가 상식대로 아는 바를 공유하고 서로를 돕는 세상이 열릴 것이다. 그 단순하고도 당연한 것을 소망해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http://www.acrofan.com/ko-kr/consumer/content/?mode=view&cate=0001&seq=170&wd=20070521&ucode=0000010001&page=1&keyfield=&keyword=

http://www.matbe.com/에서 너무 대단하고, 훌륭한 테스트가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 이 자료를 보시면, 파워을 선택하시는데에 많은 도움과 구분이 갈 수 있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워 종류와 회사가 많다보니, 우리에게 인식된 회사들만 추려서 결과를 올렸습니다. 링크 따라 가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matbe.com/articles/lire/342/comparatif-de-105-alimentations/page1.php


테스트 환경


Intel Pentium 4 560 ES LGA775 3.6 GHz
Asus P5ND2-SLI
2 cartes graphiques Gigabyte 6800 GT en SLI
2 x 512 Mo de DDR2-667 Corsair
Disque dur Seagate Barracuda SATA V 120 Go
Dissipateur Thermalright XP-120
Ventilateur Delta FFB1212EHE 120x120x38 millimètres 3500 rpm (3 ampères)


테스트 결과


Antec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olerMaster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Enermax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Fortron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Hiper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Mushkin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OCZ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asonic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venteam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Tagan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rmaltake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Zalman
(12V 전압측정 결과, 12V에 가까이 유지 시켜주는게 가장 좋음, 12V 이하로 떨어지면 12V 이상보다 안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전력(최종 소비되는 전력으로 수치가 적은게 좋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워 제조사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이 파워 제조사, 중간은 공급받는 회사, 오른쪽은 공급받는 회사의 제품 상표)


결론


+ non 모듈러 베스트 파워

Akasa Power80+ 500 watts,
90 euros Antec Trio 650 watts,
95 euros Seasonic S12 500 watts,
95 euros Seasonic S12 600 watts,
125 euros Seasonic S12 Energy+ 650 watts,
145 euros Silverstone ST40EF 400 watts,
82 euros Silverstone ST50EF Plus 500 watts,

95 euros

+ 모듈러 베스트 파워

Antec Neo HE 550 watts,
95 euros Corsair HX-620 620 watts,
150 euros Enermax Infinity 720 watts,
190 euros Nexus NX-8040 400 watts,
104 euros Seasonic M12 500 watts,

120 euros

+ 최소가격에서 성능 파워

Antec Earthwatts 500 watts, à partir de 60 euros
Antec Neo HE 430 watts, à partir de 65 euros
Be Quiet Straight Power 400 watts, à partir de 62 euros
Fortron Green 400 watts, à partir de 52 euros
Fortron Blue Storm II 500 watts, à partir de 70 euros


- 원본출처 : http://www.matbe.com/articles/lire/342/comparatif-de-105-alimentations/page1.php
- 출처: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news&no=9695


☞ 역시 예전 자료인 관계로 최근 제품은 없지만 명품메이커가 어떤 제품인지는 확실히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꼭 이런 제품을 써야만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위에 언급된 제품들은 다들 한가격 하는 제품들이니까 가격대비 생각하셔서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새로 컴을 조립할 때, 혹은 컴부품 추가장착 등으로 인한 용량증설의 필요에 의해 파워 서플라이만을 업그레이드하고자 할 때 아주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파코즈나 다른 컴퓨터 관련 사이트를 매일.. 혹은 최소한 며칠에 한번꼴로 접속하지 않는한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가늠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나 마찬가집니다.

종종 팁란에 픽셀파이프니 버텍스쉐이더니 클럭 속도를 주루룩 정리해놓은 도표가 올라오긴합니다만 원체 처음접하는 단어들이라 도무지 뭐가먼지... (최근엔 파이프도 통합되서 더 알아먹기 힘들더군요)


물론 어렴풋이 숫자(?)가 높은 놈이 장땡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만 종종 초글링 친구들은 이런 일반화의 오류 때문에 종종 6800 Ultra보다 7300이 더 빠르다고 우겨대기도 하더군요..


파코즈 공대분들은 잘 모르시겠지만 여자분들의 가슴사이즈도 컵(!)으로만 판단했다간 큰 혼란에 빠질수 있습니다... 컵 앞에 붙는 숫자와 조합을 해야만 정확한 크기를.. 애햄... 이건 어머니들이나 여친한테 물어보시구요..


그래픽 카드도 숫자만 높다고 더 좋은 것이 아니고 또 출시시기가 더 최신이라고 더 빠른 그래픽 카드가 아니라는건 파코즈 회원님들은 너무나 잘 아실거라 믿습니다. 하지만 애초 서두에 밝혔듯이 초보분들은 숫자만 봐도 머리아프고 이런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단종되었거나 혹은 조만간 단종된 카드를 비싸게 구입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대충 어떻게 가늠짚는지 대충 정리해 보았습니다.


근래 발매되는 nVidia 사의 카드는 7XXX, 혹은 8XXX로 네자리 숫자의 조합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장 맨앞에 오는 숫자는 비디오 카드의 기술 수준이 얼마나 최신 세대인지를 알려줍니다. 즉, 높을 수록 가장 최신 세대의 카드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6XXX보다는 7XXX시리즈가, 7XXX보다 8XXX시리즈가 더욱 성능이 높거나 잡아먹는 전력이 낫거나 혹은 둘다입니다. 각각의 천번대 시리즈의 모델들은 가격과 성능에 따라 좀더 그 카테고리가 세분화 됩니다.


1차적인 분류는 앞서 적었듯이 7, 8세대를 알려주는 맨 처음 숫자이고 그 다음에 붙는 숫자들로 2차 분류를 해줍니다.


7다음에 300이 붙은 7300 시리즈는 저가지향 보급형,

7다음에 600이 붙은 7600 시리즈는 중급 보급형,

7다음에 800이나 900이 붙으면 고급형.


헌데 분류를 여기서 끝내지 않고 알파벳을 조합해 더욱더 세분화해 나갑니다.

7900중에 가장 성능이 높은 GTX모델

그 다음으로 성능이 높은 GT모델

그 다음으로 성능이 높은 GS 모델..


(결국 한세대의 그래픽군이 십여개가 넘개 쪼개져 버리죠. 그래픽 카드회사들이 돈 벌려고 하는 짓입니다 -ㅅ-;;)


8시리즈는 GTX와 GT사이에 GTS 라는 모델군도 새로이 등장했고, 종종 GTO라던가 GX2, Ultra라는 특수한 레터링으로 모델을 더욱 추가합니다.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Ultra > GTX > GTS > GT > GS 정도 되겠군요


Nvidia 모델은 가장 앞에 붙는 숫자가 높을 수록, 앞의 숫자가 같다면 그 다음 3자리의 숫자가 높을 수록, 그 숫자가 같다면 그 다음에 붙는 앞파벳 조합이 위 순서대로 성능이 높습니다.


문제, 그럼 7800GTX가 빠를까요, 7900 GT까 빠를까요? -ㅅ-;;


(하지만 워낙 모델군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다보니 종종 순서가 뒤바낄때도 있습니다.)


ATI도 nVidia와 그다지 차이가 없습니다만 알파벳 조합의 순서가 nVidia랑 전혀 다릅니다.


XTX > XT > XL > Pro > GT > 등등


더불어 ATI는 예전에 9천번대 숫자까지 다 써먹고 다시 백자리 숫자(800시리즈)로 다시 시작했습니다.


9800 시리즈 -> 800시리즈 -> 1800시리즈 -> 2800 시리즈...


아래표는 탐아저씨 사이트에서 가져온 양 그래픽카드 회사의 성능별 도표입니다. 표 위로 올수록 성능이 좋고 더불어 가격도 비싸집니다. 같은 칸에 있는 모델도 성능차이가 분명히 있습니다만 큰 그림을 봤을 때, 무시해도 될만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그 칸에서 가장 느린 그래픽 카드가 어떤 게임에서 끊김이 생긴다고 했을 때 가장 빠른 놈도 약간의 개선만 있을뿐 끊기는건 매한가지..)




성능 nVidia gForce 시리즈 ATI Radeon 시리즈
1. 8800 GTX <- 현재로서는 독보적인 존재
2. 8800 GTS 2900XT
3. 7950 GX2
4.
X1950 XT, X1900 XTX, X1950 XTX
5. 8600 GTS, 7800 GTX 512, 7900 GTO, 7900 GTX, 7900 GT X1800 XT, X1900 AIW, X1900 GT, X1950 PRO
6. 8600 GT, 7800 GTX, 7800 GT, 7900 GS, Go 7950 GTX HD2600 XT, X1800 XL, X1950 GT, Mobility X1800 XT
7. 6800 Ultra, 7600 GT, 7800 GS, Go 7800 GTX, Go 7900 GTX HD2600 PRO, X800XT (& PE), X850 XT (& PE), X1650 XT, X1800 GTO, Mobility X1900
8. 6800 GT, 6800 GS (PCIe), Go 7800, Go 7900 GS X800 XL, X800 GTO2/GTO16, Mobility X800 XT
9. 6800 GS (AGP), Go 6800 Ultra, Go 7600 GT X800 GTO 256mb, X800 PRO, X850 PRO

10.

8500 GT, 6800, Go 6800, 7300 GT GDDR3, 7600 GS, Go 7700 HD 2400 XT, X800, X800 GTO 128mb, X1600 XT, X1650 PRO, Mobility X1800
11. 6600 GT, 6800LE, 6800 XT, 7300 GT DDR2, Go 7600 (128-bit) 9800 XT, X700 PRO, X800 GT, X800 SE, Mobility X800, X1300 XT, X1600 PRO
12. FX 5900, FX 5900 Ultra, FX 5950 Ultra, 6600 (128-bit), Go 6600, Go 6800 (128-bit), 7300 GS 9700, 9700 PRO, 9800, 9800 PRO, X700, X1300 PRO, Mobility X1450, Mobility X1600, Mobility X1700
13. FX 5800 Ultra, FX 5900 XT, 7300 LE, Go 7600 (64-bit) 9500 PRO, 9600 XT, Mobility 9800, 9800 PRO (128-bit), X600 XT, Mobility X700, Mobility X1350, Mobility X1400
14. 4 Ti 4600, 4 Ti 4800, FX 5700 Ultra, 6200 9600 PRO, Mobility 9700 (128-bit), 9800 LE, X600 PRO, Mobility X600, Mobility X1300
15. 4 Ti4200, 4 Ti4400, 4 Ti4800 SE, FX 5600 Ultra, FX 5700, Go 6200, 6600 (64-bit) 9500, 9550, 9600, Mobility 9600, X300, Xpress 1150
16. 3 Ti500, FX 5200 Ultra, FX 5600, FX 5700 LE, Go 5700, 6200 TC, 6600 LE 8500, 9100, 9000 PRO, 9600 LE, Mobility 9700 (64-bit), X300 SE
17. 3, 3 Ti200, FX 5200 (128-bit), Go 5600, Go 6200, Go 6400, Go 7200, Go 7300, Go 7400 (64-bit) 9000, 9200, Mobility 9600 (64-bit), Mobility X300
18. FX 5200 (64 bit), 6100, 6150, Go 7200, Go 7400 (32-bit) 9200 SE, Xpress 200M, Xpress 1000, Xpress 1150
19. 2 GTS, 4 MX 440, 2 Ultra, 2 Ti200 7500
20. 256, 2 MX 200, 4 MX 420, 2 MX 400 SDR, LE, DDR, 7000, 7200
21. Nvidia TNT ATI Rage


당신의 그래픽 카드는 몇등급인가요? ^^



- 출처: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9288


☞ 이전에 작성된 글이라 최신 칩셋은 나와 있지 않지만, 깔끔하게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퍼 왔습니다. 그래픽 칩셋 메이커의 양대 산맥인 두 회사간의 제품에서 동급의 제품이 눈에 확 들어오네요.

☞ AMD(ATI), NVIDIA의 그래픽 카드 분류는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보시기에 최신 그래픽 칩셋이 안 보인다 생각되시면 더 최근에 등록된 게시물을 찾아 보세요~


구글은 수백테라 이상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storage 가상화를 이용,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묶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 가상화된 저장공간에는 캐쉬된 웹페이지 원본, 색인정보, Gmail, 이미지, 동영상, MapReduce 작업을 위한 중간작업파일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거대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Disk가 필요할 것이다.

이번에 (2007/2) 구글은 100,000 개의 디스크드라이버를 운영하면서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논문을 공개했다. 상당히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어서 문서를 읽어 보기로 했다. 이 문서는 요약된 정보만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직접 읽어보기 바란다.

원문 : http://labs.google.com/papers/disk_failures.pdf


분석을 위해 사용된 기술


100,000개의 하드디스크에 대한 몇년간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만해도 엄청난 작업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구글은 다음과 같은 분석시스템을 구축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일은 SE의 업무분야일거라고 생각되는데, 위와 같은 분석시스템까지 갖추고 논문까지 만들어서 제출한다는 자체가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의 SE의 위상은 ? SE라는 개념이 잡혀있는지도 궁금하다. 인터넷 강국과 인터넷 천국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시스템의 건강체크를 위한 하부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모든 구글의 서버로 부터 전달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분산 시스템이 준비된다. 이 분산 시스템은 분산 연산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묶여 있다.

첫번째 계층은 Collection 계층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기 위한 분산 저장환경을 유지한다. Collection의 소프트웨어는 구글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관리 데몬으로 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 정보들은 광범위한 분석작업을 위해서 Bigtable로 압축이 된다. Bigtable는 필요없는 데이터를 제거하고 압축해서 빠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데이터 레이아웃이다. 1,000,000 명의 유저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찾아내기 위해서 1,000,000 * 1,000,000의 2차원 테이블의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유저의 도서구입 목록을 분석해서 비슷한 성향의 다른 유저가 즐겨보는 책을 추천해야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존과 같은 세계규모의 온라인서점이라면, 이러한 류의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Web2.0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라는 점을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Bigtable화 된 데이터는 Analysis계층에서 읽어들여서 분석을 하게 된다. 분석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MapReduce 프로그래밍 모델을 적용한 엔진을 이용해서 분석을 하게 된다. 최종 결과물로 통계데이터와 그래프가 만들어지게 된다.


분석할 장비


구글의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되는 수십만개의 하드디스가 목표가 되었다. 이들은 대략 5400에서 7200rpm의 속도와 80G에서 400G까지의 크기를 가지는 ATA 하드디스크들로 이루어졌다. 모델도 다양해서 9개의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만들어진 모델들이 사용되었다.


결과


처음이 힘들다


다음은 AFR결과다. 연간 오류발생율 이라고 해석하면 될거 같다. 일단 사용한지 2년째가 되는 시점부터 갑자기 오류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뒤로는 딱히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걸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1년내에서 봤을 때, 처음 3개월때의 오류발생율이 가장 높고 1년까지 서서히 감소한다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세계몰 HDD - 브랜드별 내장HDD 4만원대부터, 용량별 가격할인, OK캐쉬백, 무이자특가.
http://mall.shinsegae.com

옥션 hdd - 외장형, 하드디스크, usb메모리, 컴퓨터부품, 누구나100%쿠폰지급.
http://www.auction.co.kr

4년째 까지는 AFR의 편차가 작은데, 5년째부터 변동폭이 커지는걸 볼 수 있다. 이는 대략 5년 정도를 사용하게 되면,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 따른 내구도의 차이 때문인거 같다. 실제 논문에도 제조업체별로 오류율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여준다고 명시되어 있다. - 실제 업체를 공개하지는 않고 있다 -

가능한 빡세게 굴려라


또하나 특이한 점은 열심히 일한 하드디스크라고 해서 오류율이 증가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아래의 그래프는 주간 read/write의 크기별, 오류율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놀고 있는 얘나 열심히 일한 얘나 별차이가 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 관리자 입장에서는 가능한 빡세게 돌리는게 여러모로 이익일거 같다. 단 처음 3개월은 워밍업 기간으로 생각하고 풀어줄 필요가 있을거 같다.

냉방장치에 많은 돈을 들일 필요가 없다


온도가 높으면 고장율도 높아진다라는 건 당연하게 생각되고 있다. CPU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별로 연관성이 없는거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히려 예상과는 다르게 낮은 온도에서 더 높은 오류율을 보여주는걸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 결과를 봐서는 40이하면 오류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역시 어느정도 온도가 되어서 노글노글 해져야 부드럽게 도는게 아닌가 싶다.

전자 수준의 미시적인 현상으로 작동하는 CPU/메모리 등은 물리적특성이 중요한반면에 하드디스크는 적당한 워밍업, 적당한 온도, 적당한 활동 하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여주는 기계적인 특성을 많이 타기 때문인거 같다.


관련 링크


- 출처: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Site/Google/Service/Disk_Failure_Experience


우리가 알고 있는 하드 디스크 상식과 다른 점들이 있네요. 수용 여부는 각자 개인의 몫이겠죠.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기술은 고대역폭 디지털 컨텐츠 보호 기술로서, 그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는 고퀄리티 비디오 /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 및 사용을 원천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다. 차세대 미디어인 블루레이 디스크나 HD-DVD 의 경우, HDCP 기술을 기반으로 고화질 HD 비디오가 제공될 예정이기 때문에, HD 해상도(1920x1080)로 비디오를 완벽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디코딩을 담당하는 PC 나 A/V 기기가 반드시 HDCP 기술을 지원해야 한다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이란 무엇인가?

HDCP 는 DVI 전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인텔이 만든 암호화 기능이다.
이러한 콘텐츠를 보호하고 저작권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개발자들은 콘텐츠 제작자들의 요구에 부합하여야 하고 자신의 장치들에 HDCP 암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런 기술을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암호화된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기능을 얻기 위한 트릭이 있다.
제작자들은 이런 콘텐츠들을 저장하거나 재전송하는 걸 허용하기 보다는 인증이 필요한 뷰어를 사용해서 영상정보의 전송을 제한하는데 동의하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만일 DVI 연결을 사용하는 HDCP DVD 플레이어를 통해 프로젝터로 영상을 내보낸다면 이 프로젝터에는 HDCP가 장치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두개의 프로젝터에 이런 콘텐츠를 동시에 보여주길 원한다면, DVI 분배증폭기도 이러한 HDCP를 장치하고 있어야 한다.
사용용도가 점점 복잡해질수록 장치가 신호를 적절하게 보내기는 힘들어진다. 헐리우드에서는 자신들의 콘텐츠를 보호하고 제어하기 위해 HDCP 암호화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제한된 DVI DVD 플레이어를 사용한다. DVI 를 사용한 HDTV는 단순히 영화를 보는 것 뿐만 아니라 HDTV 전송이란 측면에서도 논의거리가 되고 있다. 앞으로는 이러한 호환성 문제가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의 불법복제 또는 해적판을 제한하기 위해 계속 크게 불거질 것이다.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통합한 포맷으로 DVD 플레이어, HDTV, 셋탑박스등 A/V 기기에 사용된다.

HDMI의 기반으로는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카피 프로텍션이 채용 되었으며, DVI가 핵심 기술로, HDCP는 인텔이 제정한 베이스 밴드의 저작권 보호기술로 DTCP와 마찬가지로 기기 간 상호 인증이 필요하다. HDMI는 표준, 확장 혹은 HD 비디오는 물론 표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지원하며,
하나의 단자로 최대 초당 5기가 대역의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소스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이 가능하다.

HDMI의 개발은 HDMI Working Group 멤버인 Sony, Hitachi, Silicon Image, Philips, Toshiba에 의해 감독된다.

응용부분:
LCD TV
LCD Projector
Plasma TV
Rear-Projection TV
HDTV
Set Top Box
DVD Player
D-VHS
 
HDMI & DVI

DVI가 PC 접속 규격으로 시작되어 이후 AV 기기에 채용됨에 따라 확대된 것에 비해 HDMI는 처음부터 AV를 전용으로 개발되었다. DVI와 HDMI의 차이점은 세 가지가 있는데 }

첫 번째는 플러그의 형태다. HDMI는 두 종류로, 20mm 폭은 PC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15mm 폭의 소형 플러그(타입 A)가 AV용이다.

두 번째는 전달하는 영상 신호의 내용이다. DVI는 RGB의 영상 신호만 전송할 수 있지만 HDMI는 RGB와 색차 베이스밴드 영상 신호(비압축)도 전송할 수 있다. 색차 인터페이스를 표준 AV 기기에 맞춘 사양이다.

세 번째는 DVI와 달리 HDMI는 오디오 신호도 동시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압축 또는 비압축 음성신호를 영상 신호로 다중 전송하는 HDMI는 한 가닥의 케이블로 8채널까지 베이스밴드 전송이 가능한데 DVD-오디오의 5.1채널 전송 등이 전형적인 예다.

* HDMI와 DVI 모두 TMDS 전송 방식을 사용, 상호 호환이 가능하므로, 한 쪽이 DVI 단자, 한 쪽이 HDMI 단자 방식의 케이블도 동작가능하다.


HDMI & DVI 비교표


DVI(single link)
HDMI(타입 A)
전송가능한 영상 신호
RGB(비압축)
RGB 혹은 Y/Cb/Cr(비압축)
전송가능한 화소수
640*80~1600*1200
640*80~1920*1080P
전송가능한 음성 신호
없슴
48~192kHz/8ch, 192Khz/2ch
(영상 주파수에 의해 변화)
카피 프로텍션
HDCP
HDCP
단자 사이즈
폭 25mm
폭 15mm
전송 방향
단방향
단방향
케이블 길이
~10미터
~15미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선 많이보게되는 PC5300 메모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C5300은 667Mhz로 동작합니다. 여기서 5300은 대역폭을 의미합니다. 메모리하나의 대역폭이 5300 인것이죠.

그럼 계산을 해보죠.
5300메모리의 실클럭은 333입니다. DDR기술로 667이 되는것이죠. 5300 메모리는 64비트입니다. 아래식에서 간단히하시려면 DDR기술이 적용된클럭인 667을 바로 곱해주셔도 됩니다.

333(메모리 실클럭) * 2 (DDR일경우 2를 곱해야함) * 64(Bits 의 버스폭) / 8 (1Byte=8bits 단위환산을위한 나누기) = 5328 MB/s (1M = 1,000,000)

입니다. 이걸 667로 계산할 경우,

667 (유효클럭) * 64 (비트 : 버스폭) / 8 (비트) =  5336 MB/s 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듀얼체널은 이대역폭을 하나로 묶어주는것으로 *2 한 값인 10672가 되는것입니다.
결국 대역폭이 2배가 된다는 듀얼체널은 버스폭이 128비트가 된다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대역폭이 10672MBps 가 됩니다. 결국 CPU의 FSB대역폭이 667Mhz 의유효클럭 에서  5332MBps 이므로 병목현상 이 이론적으로는 없다는 말이되는것이죠.

하지만 5300메모리를 듀얼체널구성이 아닌 일반 적인 구성일경우 메모리와 FSB의 유효클럭이 667로 같게되고
둘다 대역폭이 5332MBps가 되므로 이것은 동기화 되었다고 이야기를 하는것입니다.

다시 추가설명을하자면  동기화가 되지 않는다는것은 FSB가 667인 요나/메롬 프로세서를 탑재한 컴퓨터가 메모리 대역폭이 4200인 533Mhz짜리 메모리를 이용하면.. 대역폭이 지원되는것보다 줄어들어 많은량의 데이터가 이동할때에는 병목현상이 생기게 되는것입니다. 즉, CPU와의 동기화가 되지않으면 재대로 된 성능을 내줄수없다는 결론 입니다.
어디까지나 이론적인것입니다. 실제로 동기화가 되어도 병목현상은 없어지는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최소화 되었을뿐이지요...

- 출처: http://cafe.naver.com/dellstory/419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디지털화된 화상정보를 압축, 데이터의 양을 줄여 CD-ROM에 기억시키거나 전파로 송신 가능하게 만드는 일종의 화상압축기술. DVI는 미국의 인텔사가 제창한 방식이며 그밖에 네덜란드의 필립스, 일본의 마쓰시타 전기산업, 소니 등이 개발중인 CDI방식 등이 있다. 화상정보를 디지털화하면 아날로그 화상에 생기는 노이즈가 제거돼 화질이 향상되고 더빙을 반복해도 화상이 떨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DVI 케이블 특징
- DVI는 고품위 영상전송 기술로서 최고급영상 전송에 필요한 Cable 사양이다.
- Digital 전송 속도 : 4.95Gbps or 9.9Gbps
- Analog는 Coaxial Line 사용.


DVI to Dsub 케이블의 특징
  • VGA카드의 DVI-I 단자에서 모니터의 아날로그 RGB 입력단자(D-SUB) 로 연결하는데 사용
  • RGB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DVI 신호로 변환하는 것 아님 !!
  • DVI-I 는 DVI-D + 아날로그 RGB 신호가 결합된 구조로 본 케이블은 이중 아날로그 RGB신호만을 D-SUB 단자로 출력해 주는 것임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http://cafe218.daum.net/_c21_/home?grpid=18liT
    이 글은 원저작자가 따로 있는 스크랩한 글입니다. 원본 출처는 http://cafe.naver.com/openframe/891입니다.


    내용이 길어질 수 있으니 차분히 보세요.이 분야 전문가도 계실테고 전혀 모르시는 초보님도 계실테고 잘못 알고 계신분도 있을텐데요.초보님들과 잘못 알고 계신분들을 위해 아는 내용 적어보겠습니다.우선 간단히 CRT에 대해 설명 할께요.


    CRT

    CRT는 모니터와 그래픽카드가 지원하는한 모든 해상도가 최적화 화면입니다.
    보통 해상도를 보면 640*480, 800*600, 1024*768, 1280*1024... 이런식으로 되어있죠. 와이드가 나오기 전까진 이렇습니다.

    TV와는 달리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점으로 구성되어 있죠.
    640*480 이면 가로로 640개의 점과 세로로 480개의 점으로 나타내어 집니다. 프로젝트 처럼 빛으로 유리에 상을 맺히게 하기 때문에 해상도 640*480으로 신호를 주면 해상도에 해당하는 만큼 점으로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어떤 해상도이든 깨끗한 화면으로 보실수 있죠. 같은 크기의 모니터에서 해상도가 낮으면 픽셀의 크기는 커지겠죠. 글씨가 커보인다는 뜻입니다. 도트피치라 하여 픽셀(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로 도트피치가 작을수록 모니터는 높은 해상도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LCD

    LCD는 패널의 특성상 픽셀의 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1366*768이면 가로로 1366개의 점과 세로로 768개의 점으로 이루어져있죠.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해상도는 CRT와 마찬가지입니다. 와이드의 경우 또다른 해상도가 있고요. 1600*900, 1680*1050 등등.

    많이 사용하시는 오픈프레임처럼 1280*768, 1366*768, 풀HD의 경우 1920*1080 등이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시는 오픈프레임 위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280*768은 화면비율이 15:9 1366*768은 화면비율이 16:9 위 모델보다 좌우로 더 넓죠. 26인치의 경우 높이는 더 적습니다.

    이 패널은 TV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사실 컴퓨터에 쓰기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죠. 왜냐하면 화면이 큰만큼 픽셀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가까이 보면 픽셀이 쉽게 눈에 들어옵니다. 멀리서 보는 TV나 게임용.. 게임화면은 800*600 화면이면 충분하다고들 합니다. 이런 오픈프레임을 피봇기능을 이용하여 서핑을 한다거나 문서작업을 하는것도 별로 올바르지 못합니다.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 가로 픽셀을 최하 800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768*1366으로 보시면 옆이 잘려서 좌우로 이동을 해가며 봐야하기 때문이죠.


    가독성. 최적화면 - LCD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해상도를 설정하다보면 특정 해상도는 안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나, 드라이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6인치 1366*768 패널의 가독성 최적인 해상도는 1366*768 입니다. 절대 1280*768의 해상도가 최적이 될 수 없습니다. 26인치 1280*768 패널의 가독성 최적인 해상도는 마찬가지로 1280*768 입니다. 1366*768을 절대 나타낼 수 없습니다.

    26인치 1366*768 패널에서 1280*768이나 1024*768을 어느정도 잘 보이게 해줄수 있는게 AD보드입니다. AD보드가 나쁘면 1280*768에서 화면이 심하게 일그러질 수 있고 1024*768 해상도에서는 깨끗하게 보일수도 있고 그럽니다.

    패널은 1366*768이나 1366*768의 화면은 안나오고 1280*768에서 그나마 깨끗히 보일수도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1280*768에서는 최대의 가독성이 나오지 않습니다. 1366에서 1280을 뺀 86픽셀이 좌, 또는 우, 또는 좌우로 나눠져서 검은색 화면으로 남게 해주는 보드가 아니라면요.
    하지만 컴퓨터 해상도 설정에서 보듯이 1366*768이란 해상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1366*768 패널에서 최대의 가독성이 나올려면 AD보드 마다 다른데요. 1366에서 1360을 뺀 6개의 픽셀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3개의 픽셀을 좌우로 나누어 검정색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6개의 픽셀을 좌, 또는 우측에 검정색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6개의 픽셀을 좌, 또는 우측에 화면을 복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AD보드마다 다릅니다. 어떤 AD보드는 위의 방법이 아닌 1360*768을 늘려서 1366*768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최적화된 화면을 보실수 없고 몇몇 글씨들이 약간 뭉개지는듯해 보입니다.

    1280*768 패널을 사용하시는분들은 1280*768 해상도가 있으니 가독성 최대일수밖에 없죠.^^
    AD보드에 따라 그럴듯 보이게는 가능하지만 LCD의 경우 패널 해상도에 맞게 해상도를 설정하셔야지 가독성이 제일 좋습니다.

    다른 예를 들면 1600*1200의 패널이 있다고 가정하고 해상도를 800*600으로 맞춰도 가독성이 매우 좋은 해상도가 됩니다. 실제 4개의 픽셀을 하나의 픽셀로 사용하므로 픽셀의 크기가 커질뿐 글씨는 일그러지지 않습니다.


    오픈프레임의 용도

    해상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실 PC용으로는 무리가 있습니다.
    1366*768을 사용한다고 할때 화면이 크고, 글씨 자체가 크기 때문에 화면을 전체적으로 봐야합니다. 멀리서 보시면 상관없겠지만요. 가까이서 보시면 눈에 피로가 금방옵니다.

    그럼 26인치 LCD패널은 어떻냐?
    26인치 PC용 LCD패널의 경우는 해상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한곳만 보시고 작업이 가능합니다. 해상도를 1024*768 이렇게 사용하시면 오픈프레임 사용하시는 거랑 똑같죠.. ㅡ.ㅡ 이렇게 사용하실려면 비싼 PC용 LCD 모니터를 사겠습니까? 해상도를 1920*1080으로 하시면 한쪽에서 서핑 한쪽에서 다른 작업을 하실수 있기 때문에 화면을 전체적으로 안 보아도 되지요.

    앞서 말씀드렸 듯 오픈프레임용 패널은 TV용으로 제작된겁니다. TV용 패널을 응용해서 게임기에서 사용한것 뿐이지요. 게임화면은 800*600..이면 깨끗하다고 보이기 때문이죠. 매우 움직이는 화면이기에 해상도가 낮아도 많이 못느끼십니다. 동영상도 마찬가지지요. TV도 마찬가지고요~~


    PC용으로 장시간 사용하실려고 구입하시는 분들은 한번더 생각하시고 사용시에는 좀~ 멀리 떨어져서 사용을 권합니다. 안과 찾으시는 일 없도록요. AD보드를 바꾸거나 외장형 TV(HD 추천) 수신기를 사용하여 TV 보실분, 컴퓨터를 이용하여 동영상(야~머시기)나, 동영상 강의.. 이런용도가 주 용도라면 강력 추천합니다. 야~머시기는 참으로 실감나지요..ㅡ.ㅡ


    긴글 읽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읽어 보시고 많은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틀린부분 지적해주세요. 이외 궁금하신거 댓글 달아주세요. 두서없이 쓰다보니 뭐가 빠졌는지 모르겠네요. 시간도 멍~할 시간이고요..


    - 출처: http://cafe.naver.com/openframe/891


    + Recent posts